ADVERTISEMENT

DNA 노화 시계도 늦추는 긍정적 생각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821호 20면

기대의 발견

기대의 발견

기대의 발견
데이비드 롭슨 지음
이한나 옮김
까치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라오스 출신 허몽족 남성들이 잠을 자다 사망했다는 보고가 급증했다. 밤에 돌아다니며 사람의 입을 틀어막는 ‘다초’라는 사악한 악령을 믿는 그들의 전통문화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미국에서는 주술사의 도움을 받아 악령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없게 됐다는 불안이 만성 스트레스로 작용, 건강이 나빠진 것이다. 자면서 죽는 사람이 하나둘 생기자 그들 사이에 집단 히스테리가 발생, 사망자가 잇따랐다.

결국 캘리포니아의 한 의료센터에서 주술사를 불러 의식을 거행했다. 장 괴사로 죽어가던 허몽족 남성은 말끔하게 회복했고, 다른 환자들 상황도 개선됐다.

미국 제2대 대통령 존 애덤스와 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은 1826년 7월 4일, 같은 날 숨을 거뒀다. 미국 독립선언 50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는 5년 뒤 7월 4일 사망했다. 중대한 기념일까지 살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작용했을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과학전문 저널리스트인 이 책 『기대의 발견』(원제 The Expectation Effect)의 저자는 이런 사례를 단순히 미신이나 우연으로 간주하기보다는 ‘기대 효과’라는 측면에서 바라봤다. 자기 몸 상태에 대한 마음가짐이나 기대 수준이 실질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측 기계’인 우리의 뇌가 현재 상황을 살피고 미래를 내다보면서 그에 따라 몸에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뇌가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즉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우리 건강도, 삶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플라세보(placebo, 위약) 효과다. 진통제인 모르핀이 부족했던 2차 세계대전 때 환자들에게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고도 진짜 진통제라고 안심시켰더니 효과가 실제 진통제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냥 생수를 카페인이 첨가된 에너지 드링크라고 믿고 마시도록 했더니 혈압도 그에 따라 달라졌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심지어 가짜 약이란 사실을 알려줘도 플라세보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기대효과를 이용하면, 실제 마약성 진통제 투여량을 줄이고 약물 의존도를 낮출 수도 있다.

음식도 마찬가지다. 실험에서 참여자 A그룹에는 달걀 2개와 치즈 30g을, B그룹에는 달걀 4개와 치즈 60g을 보여준 뒤 실제로는 두 그룹 모두에게 달걀 3개와 치즈 45g으로 요리한 오믈렛을 제공했다. 달걀 2개와 치즈 30g을 본 그룹은 포만감이 낮아 다음 식사 때 파스타를 더 많이 먹었다. 포만감은 위장에서만 느끼는 게 아니라 뇌에서도 판단하는 셈이다.

불면증도 상당 부분 기대효과와 관련이 있다. 잠을 충분히 잤으면서도 제대로 못 잤다고 불평한 사람도 있었는데, 혈압이 높았고 인지 능력도 떨어졌다. 반대로 충분히 못 잤는데도 불면증을 호소하지 않은 사람은 혈압이 높지 않았다. 잠을 깊이 자지 못하면 다음 날 힘들 것이라는 걱정을 버리고 차라리 깨어 있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불면증 치료에 낫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1975년 7월 미국 예일대 연구팀은 막 50세에 접어든 1100명을 골라 추적을 시작했다. 나이 듦에 대한 태도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사람은 실험 시작 이후 평균 22.6년을 더 살았지만, 부정적인 사람들은 평균 15년밖에 살지 못했다. 자신이 아직도 할 일이 있고 젊은 세대와 똑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은 평균수명은 물론 심각한 장애나 질병 없이 살아가는 건강수명까지 늘렸다.

주변 사람의 기대도 효과를 발휘했다. 교사가 긍정적으로 바라본 샌프란시스코 초등학교 학생은 지능지수가 월등히 향상됐고, 이런 기대는 몇 년 후까지도 지속했다.

저자는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뇌가 새롭게 재해석하도록 만든다면 많은 것이 달라질 것이라고 지적한다. 호텔 청소부들에게 평상시 하던 작업을 ‘운동량’으로 계산해서 제시한 결과, 한 달 후 체중이 1㎏ 줄고 혈압도 낮아졌다는 것이다.

책에 따르면 마음가짐이나 생활방식 변화로 노화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는 것만으로 DNA의 ‘노화 시계’가 천천히 가도록 만들 수 있다. 스트레스도 다르게 볼 필요가 있다. 호흡이 불안정하고 심장이 빨리 뛰더라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자신의 몸이 중요한 일에 대비해 에너지를 끌어모으는 징후로 받아들이고 실력을 발휘할 준비가 된 것으로 보면 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이런 주장을 자칫 유사과학 정도로 여길 수도 하지만, 저자가 열거한 탄탄한 과학적 증거를 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하나하나가 실험을 통해 확인되고 전문가 검증을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것임을 책 참고문헌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고 저자가 기대 효과를 만병통치약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사고가 모든 불행과 불안을 없애줄 것이라고 우기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고 명확히 하고 있다. 대신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우리 자신의 운명도 원하는 모습에 좀 더 가깝게 혹은 더 멀어지게 만들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새해 아침에 하는 결심도 의미가 있다. 일주일이 지난 지금 다시 한번 의지를 다져보면 어떨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