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치는데 징벌적 세금? 여기가 유흥주점인가요

  • 카드 발행 일시2023.01.06

올해부터 국내 골프장은 기존의 ‘회원제-대중제’에서 ‘회원제-비회원제-대중형’ 3종류로 분류된다. 회원제는 말 그대로 회원제 골프장이고 비회원제는 그린피 비싼 고급 퍼블릭 코스, 대중형은 일반 퍼블릭 코스로 보면 된다. 비회원제 골프장은 세금이 오르고 대중형은 기존 퍼블릭 골프장의 세율을 적용받는다. 코로나19 기간 일부 퍼블릭 골프장 업주가 그린피를 크게 올려 폭리를 취하자 정부가 이를 막기 위해 내놓은 정책이다.

세금 덜 내는 대중형 골프장이 되려면 정부가 정한 그린피 기준을 맞춰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가격을 최대 주중 18만8000원, 주말 24만7000원으로 정해 고시했다. 수도권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요금에 물가상승률을 더한 후 회원제 골프장과 대중형 골프장 간 세금 차액인 3만4000원을 뺀 금액이라는 것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설명이다. 회원제보다 세금을 덜 내니 그만큼 덜 받으라는 말이다.

가격 책정 잘못됐다 

퍼블릭 골프장을 그린피 기준 A(고가), B(중가), C(저가)로 나눈다고 가정해 보자. 고가인 A골프장들은 어차피 정부 기준을 맞출 수 없어 비회원제가 될 것이고 저가인 C코스들은 대중형이 될 것이다. 문제는 비회원제가 될지, 대중형이 될지 고민할 B골프장들이다.

그린피를 낮추려는 정책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정부 고시 상한 가격이 B골프장 그린피보다 약간 낮아야 한다. 그래야 B골프장들이 세금 중과를 피하기 위해 그린피를 약간 내려 대중형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정부가 책정한 기준 그린피 가격은 너무 높다. 이용료가 상대적으로 비싼 수도권 퍼블릭 골프장들 대다수가 군소리 없이 정해준 가격을 받아들이겠다고 할 정도다.

지방에서는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이라는 반발이 나온다. 경남신문은 “지역 골프장 그린피보다 정부의 상한제 가격이 5만~8만원 높아 골프장들이 세제 혜택을 받으면서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기회만 늘어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정부 기준은 평균 요금이다. 대중형 골프장들은 새벽에 그린피를 싸게 받고 골든타임에 비싸게 받을 것이다. 성수기 피크타임에 30만원이 넘는 대중형 골프장 그린피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야간 라운드까지 합산 평균이 된다면 피크타임 그린피는 더 오를 수도 있다.

매립지에 지어 가격이 저렴한 드림파크CC. 중앙포토

매립지에 지어 가격이 저렴한 드림파크CC. 중앙포토

어떤 가격이어도 문제 생긴다   

단기적으론 가격 책정 실패지만, 장기적으론 어떤 가격을 책정해도 문제는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A, B, C형 모두 그렇다.

퍼블릭 중 가장 비싼 A는 제도 시행 후 세금이 늘어나 그린피가 올라가게 된다. 어차피 그린피를 올려야 하니 미국 페블비치 같은 럭셔리 퍼블릭 골프장 콘셉트로 갈 것이다. 푸른 바다 절벽 위에 선 경남 사우스케이프 골프장에 꼭 한번 가보고 싶다는 로망을 가진 골퍼는 4만원 이상 더 필요할 것이다.

C골프장 그린피는 비수기에는 시장 논리에 따라 결정되겠지만, 극성수기에는 정부가 공식적으로 그어 놓은 선에 영향받아 올라갈 것이다. 정부가 여기까지는 올라와도 된다고 했으니 얼마나 명분이 좋은가. C골프장끼리 그린피 담합 가능성도 있다. 그러니까 비싼 곳은 더 비싸지고, 싼 곳도 가격이 오를 걸로 보인다.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