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방음터널 느는데 방음판 불연 기준도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29일 발생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화재에서 많은 사상자가 나온 건 방음재가 열과 불꽃에 취약해 불이 순식간에 번졌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2016년 방음터널 내 방재시설 설치가 의무화됐지만 방음판 자체의 불연 성능 기준은 지침에 담기지 않아 사실상 사각지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소방과 방재전문가 등에 따르면 이날 화재가 난 방음터널에는 투명 플라스틱인 아크릴수지(PMMA)가 사용됐다. 방음터널에는 통상 PMMA나 폴리카보네이트(PC), 강화유리가 자재로 활용된다. 이 중 PMMA의 가격이 가장 싸 초기에 집중적으로 사용됐다고 한다.

반면에 안전성은 가장 떨어진다. 도로교통연구원이 2018년 공개한 ‘고속도로 터널형 방음시설의 화재 안전 및 방재대책 수립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세 가지 자재 중 PMMA의 열분해 온도(300도 전후)가 가장 낮았다. 또 모의실험에서 화재로 방음판이 녹아 떨어지더라도 PMMA는 계속 불타는 특징을 보였다.

불이 쉽게 붙고 빨리 녹는데, 녹아내려도 계속 타기 때문에 불덩이가 떨어져내리는 셈이다. 이 때문에 연구진들은 PMMA 방음재를 쓰면 다른 차량에 2차 피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비슷한 사례가 2020년 8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의 하동IC 고가차도에서도 발생했다. 이곳도 PMMA 소재를 썼는데 방음터널 200m 구간이 소실됐다.

전문가들은 그간 방음터널의 방음재 불연 기준 문제를 지적해 왔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방음터널은 다 가연성 재료를 사용해 화재 시 콘크리트 터널보다 취약하다”고 했다.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진은 방음 자재 재질 기준으로 ▶투명 방음판의 열분해 온도는 400도 이상 ▶흡음형 방음판의 흡음재는 준(準)불연 이상의 난연 성능을 갖출 것 등을 제안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