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 무인기에 뚫린 서울…군 정찰기 이북 맞출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의 군사용 무인기 5대가 26일 5년 만에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남측 영공을 침범해 서울, 강화, 파주 상공을 5시간여 동안 휘저었지만, 우리 군은 격추에 실패했다. 군 당국은 공격헬기를 띄워 기관포 100여 발을 쏘며 북한 무인기 격추에 나섰지만 모두 놓쳤다. 군은 상응 조처로 유·무인 정찰기를 비무장지대(DMZ)와 MDL 이북으로 보내 정찰활동을 벌였다. 북한 무인기들은 북으로 돌아가거나 우리 레이더 탐지에서 사라져 우리 군의 대비태세에 허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25분쯤부터 경기도 일대에서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항적 5개가 포착됐다. 군 관계자는 “미상의 항적을 MDL 이북에서부터 발견한 뒤 이를 무인기로 식별했다”고 말했다.

북한의 무인기 도발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함동참모본부 등 종합]

북한의 무인기 도발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함동참모본부 등 종합]

이 중 1대는 민간인과 민가가 밀집한 경기도 파주 도심을 지나 서울 북쪽까지 날아왔다. 나머지 4대는 한강 하구 중립수역을 넘어 강화도 일대를 비행했다. 합참 관계자는 “10시25분쯤 최초 식별된 무인기 1대는 3시간가량 비행 후 MDL 이북으로 이탈했고, 나머지 4대는 오후에 순차적으로 포착되었다가 소실돼 총 5시간여 동안 작전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날 우리 군 조종사는 북한 무인기 1대를 육안으로 식별했는데, 날개 전장 기준 2m급으로 보였다고 한다. 나머지는 레이더로만 포착해 형태가 파악되지 않았다. 2017년 6월 강원도 인제에 추락한 북한 무인기는 폭 2.86m에 길이 1.85m, 2014년 4월 백령도 인근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는 폭 2.46m에 길이 1.83m였다. 육안으로 식별된 1대의 모습은 2017년 6월 인제에 추락한 무인기와 비슷한 형태로 보였다고 군 관계자가 전했다.

군 관계자는 “강화도의 북한 무인기 4대는 우리 군의 눈을 돌리려는 양동작전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무인기를 이륙시킨 지점은 여러 곳으로 추정된다는 게 군 당국의 분석이다. 북한 무인기는 일단 정찰용으로 추정되나 군 당국은 무장 가능 여부도 분석 중이다.

군 당국은 자위권 차원에서 즉각 대응했다. 군은 경고방송과 경고사격 이후 공군 전투기와 육군 공격헬기를 이륙시켜 격추 작전에 나섰다. 공격헬기는 서해상에서 레이더에 나타난 북한 무인기 방향으로 20㎜ 기관포로 100발 넘게 쐈다.

군 전투기·헬기 출격…100발 쐈지만 북 무인기 격추 실패 

북한 무인기 대응 지원을 위해 원주기지에서 이륙하던 공군 KA-1 경공격기(아래 사진)가 26일 강원도 횡성에 추락해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무인기 대응 지원을 위해 원주기지에서 이륙하던 공군 KA-1 경공격기(아래 사진)가 26일 강원도 횡성에 추락해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작전 지원을 위해 이날 오전 11시39분쯤엔 KA-1 경공격기가 공군 원주기지에서 이륙하다가 추락했다. 조종사 2명은 비상탈출했고, 인명 피해는 없었다.

군은 이날 오후 4시쯤에서야 ‘진도개 하나’를 발령했다. ‘진도개’는 북한의 국지 침투나 도발에 대응해 경계태세를 높이는 경보다. 이승오(육군 소장) 합참 작전부장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우리 영공을 침범한 명백한 도발 행위”라며 “군은 철저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군은 북한 무인기를 격추하지 못했다. 서울 가까이 내려온 북한 무인기 1대는 북한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강화도 상공을 비행한 4대는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군은 북한 무인기들의 정확한 복귀 시간을 추가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 무인기 5년 만에 MDL 침범 비상

공군 KA-1 경공격기

공군 KA-1 경공격기

군 관계자는 “(무인기가) 떨어진 것인지, 아니면 (북으로) 복귀한 것인지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국민의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응했다”며 “민가와 도심지 등이 있는 상공이다 보니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 국민의 피해를 고려해 그런 지역에서는 사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북한 무인기 격추 작전의 평가에 대해 군 당국은 “답변이 제한된다”는 입장이다.

북한 무인기는 저공·저속 비행하고 레이더 반사 면적이 작으며, 적외선 방출 신호가 약해 탐지가 쉽지 않다. 또 북한 무인기의 경우 하늘색으로 칠해져 전투기 조종사가 식별하기가 어렵다고 군 당국은 설명했다. 그러나 북한 무인기가 우리 상공을 장시간 휘젓고 격추에도 실패하면서 군의 대비태세에 구멍이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서해 일대 섬과 육지에 사는 시민들은 불안에 떨었다. 김포 조강리의 문경임(74) 이장은 “면사무소에서 오후 3시쯤 대피소 문을 열라는 연락을 받았다”며 “대다수가 방송을 보고 무인기가 온 걸 알았다. 격추를 못 했다고 하니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 강화도에 사는 김모(42·여)씨는 “강화군청과 카카오톡 친구를 맺어 소식을 받았는데 이번에 무인기 관련해서는 대피는커녕 알림도 없었다”며 “안보가 뚫린 것 아닌지 걱정된다”고 했다. 권명국 전 방공포병사령관은 “북한 무인기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영공으로 진입하는 순간 격추 사격에 들어갔어야 했다”며 “무인기가 소형이라 격추가 어렵다고 하는데, 방공 사격훈련은 2m급 무인기를 상정해 진행한다. 현재 무인기 요격 대응이 육군과 공군으로 나뉘었는데 이번 기회를 계기로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틀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군의 대북 움직임과 관련, “김성한 대통령실 안보실장을 중심으로 실시간 대응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대응 조치 차원에서 이날 오후 유·무인 정찰기를 DMZ와 MDL 이북으로 급파해 북한의 주요 군사시설을 촬영했다. 군 당국은 아군이 투입한 정찰 전력과 정찰한 북한 지역에 대해선 군 당국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유인기인 RF-16 새매 전술정찰기, 무인기인 RQ-4 글로벌호크와 RQ-101 송골매 등이 동원됐을 것으로 관측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아군의 정찰활동에 대해 아무런 대응이 없었다”고 말했다.

군이 정찰기를 북한으로 보낸 사실을 공식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남북한이 MDL 너머 상대편으로 정찰기를 날린 것은 정전협정은 물론 2018년 9·19 남북한 군사합의를 위반한 행위다. 1953년 체결된 정전협정은 ‘상대방 군사 통제 아래 있는 지역과 인접한 해면의 상공을 존중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9·19 군사합의는 서부 지역의 경우 MDL로부터 남북 10㎞ 안을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했다.

인천·김포공항 여객기 1시간 이륙 중단

북한은 특히 올해 들어 북방한계선(NLL) 북쪽 해상완충구역으로 포격하고, NLL 남쪽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9·19 군사합의를 대놓고 무시하고 있다. 그러다 이번에 한국이 9·19 군사합의를 맞대응 차원에서 어겼다는 분석이다. 군 관계자는 “적의 행동에 상응하는 조치라고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한국의 국론을 갈라놓고 미국을 압박하면서 단기적으론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멈추고, 장기적으론 미국이 대북 적대 정책을 포기하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군이 대응 작전에 나서면서 민항기 운항이 일시 중단됐다. 국토교통부 서울지방항공청에 따르면 이날 합참의 요청으로 인천국제공항(오후 1시22분)과 김포공항(오후 1시8분)에서 항공기 이륙이 멈췄다가 오후 2시10분 일괄 해제됐다. 또 인천항을 떠나 연평도로 가던 카페리가 오후 2시38분쯤 소연평도 인근에서 해경의 통보로 멈춰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