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고정애의 시시각각

여당 경선룰 유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고정애 기자 중앙일보
고정애 논설위원

고정애 논설위원

“‘국왕 살해’로 관리되는 절대군주제(an absolute monarchy, moderated by regicide).” 영국 보수당의 원로인 윌리엄 헤이그가 자신의 당을 두고 한 말이다. 당수가 전권을 휘두르지만 잘못하면 처참하게 내몰린다는 얘기다. 철의 여인으로 불렸던 마거릿 대처의 마지막을 떠올리면 될 듯하다. 덜 알려진 부분은 2010년 헤이그가 이 말을 할 때 연정 협상 파트너인 자민당 정치인이 보인 반응이다. “우린 절대민주제다. 거의 관리되지 않지만.”

여론투표에다 대통령·대표 역학 등 #기존 경선룰엔 근원적 딜레마 있어 #이는 외면하고 특정인 배제 의도만

 올 들어 보리스 존슨에서 리즈 트러스, 리시 수낙으로 숨가쁠 정도로 당수(총리)직이 넘어가는 과정을 보면 보수당도 ‘절대민주제’처럼 보이긴 했다. 이젠 안정을 찾았지만 말이다.

 경제통인 수낙으로의 귀결은 당연해 보이나 당연하기만 했던 건 아니었다. 경선 룰의 마법이 있었다. 보수당 당수는 원래 의원들이 뽑았지만 정당 민주화 요구에 1998년부터 의원들이 최종 2인을 뽑고 당원들이 그중 한 명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수낙은 당원들에게 매력 있는 캐릭터가 아니다. 억만장자 아내를 둔 초엘리트에다 비(非)백인이다. 실제 7월 경선 의원 투표에서 1위(38.6%)를 했으나 당원 투표에서 졌다. 10월 경선에선 당원들에겐 발언권이 주어지지 않았다. 경선 룰을 정하는 ‘1922위원회'(평의원 모임)에서 문턱을 확 높여서다. 7월엔 의원 20명만 지지하면 후보 등록이 가능했는데 10월엔 그 숫자를 100명으로 늘렸다. 그 정도 확보가 가능했던 존슨 전 총리는 동료들이 주저앉혔다. 수낙의 단독 입후보였다.

 비민주적인가. 일견 그래 보일 수도 있다. 지금의 상황을 보면 달리 답할 수밖에 없다. 더 나은 통치체제를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더 민주적일 수 있다. “이젠 통치(govern)할 만하다”고 말하는 보수당 의원도 있다.

 이런 연유로 도발적으로 들리겠지만, 정당 민주화가 절대선(善)이 아니란 주장도 있다. 『책임정당 : 민주주의로부터 민주주의 구하기』의 저자들은 “새로 동원된 당원과 열성 당원이 당 의원들의 입장을 대표하지 않을 경우 그 원내 정당 내부에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다. 겉보기엔 민주주의가 증진되는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은 걸 위해 비싼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고 썼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정진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룰을 바꾼 것을 두고 논란이다. 사실 기존의 경선 방식엔 몇 가지 딜레마가 내재한다. 2000년대 정당 민주화 이후 우린 당 대표 선출을 당원들에게 맡겼지만 당원들의 선택을 신뢰하진 않았다.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며 여론조사를 가미하기 시작한 배경이다. 이는 또 다른 딜레마를 낳았는데, 확률인 여론조사가 투표처럼 활용되게 됐다는 점이다. 김영원 숙명여대 교수는 “A, B 후보자의 여론조사 지지율 차이가 작은 경우 지지율에서 두 후보는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통계학적 해석이 허용돼야 하는데 정치권에서는 이런 해석이 통하지 않는다”고 개탄했다.

 의원(위원장)들의 판단이 개입할 통로도 문제가 된다. 그간 의원들이 당원들에게 주문하는 방식으로 우회했다. 100만 명 가까운 책임당원 시대가 되면 이게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국민의힘 당직자는 “이번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전혀 모르겠다”고 했다. 의원 발언권을 최소화한 영국 노동당은 10여 년간 필패의 당수를 뽑았었다.

 여당의 경우 또 다른 딜레마가 있다. 대통령과 당 대표의 어정쩡한 역학관계다. 둘 다 국민 또는 당원·국민(수천 명의 여론조사)으로부터 권력을 위임받았다. 누가 우선권을 가져야 하나. 그동안 대통령 말을 잘 듣는 이를 당 대표로 선출하는 것으로 해결해 왔다. 그러다 대통령과 각을 세우는 이가 당선되면 여권 전체가 갈등에 빠져들곤 했다. 당 대표가 없는 미국 대통령제는 겪지 않는 혼란이다.

 국민의힘이 경선 룰을 바꿨으나 “특정 후보를 배제하겠다”는 의도만 두드러질 뿐 고민이 안 담겼다. 유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