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모르모트야? 난 싫다”…울림 컸던 최종현 회장 죽음

  • 카드 발행 일시2022.12.23

나는 지난해 초까지 웰다잉 강사로 활동할 때 강의가 끝날 무렵 수강자들로부터 질문받는 시간이 늘 기다려졌다. 세상 사람들의 관심을 들여다보는 게 흥미롭다. 질문 중에는 유명 인사들의 사생관(死生觀)이 자주 화제에 오른다. “왜 어떤 분은 저렇게 단단한 모습으로 세상을 떠날 수 있을까요” “나도 훗날 저렇게 됐으면 좋겠어요” “어떤 분은 평소의 삶과 달리 너무 슬픈 운명을 맞이했는데 뭐가 잘못됐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의문이 이어지기도 한다.

사생관은 어떻게 살다 어떻게 죽느냐의 문제다. 죽는 것보다 사는 문제가 우선이기 때문에 생사관이라고도 한다. 사생관이라는 단어를 즐겨 쓰는 사람들은 시간의 수레바퀴를 따라가도 역시 죽음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퍼뜩 떠오르다 보니 그 단어를 입에 붙이게 되더라고 말한다.

한 번은 강원도 춘천시와 속초시에서 했던 모임에 은퇴한 지방 공무원들이 대거 참석했다. 그중에서 특히 사회봉사를 하고 싶어 하는 전직 교사들이 웰다잉 공부를 통해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령자들을 지원하고 싶어 했다. 노후의 고립에서 헤어나지 못하거나 신변을 비관하다 목숨을 끊는 고령의 자살자가 계속 늘어나는 데다 무의미한 연명 의료가 일상사가 돼버린 현실이 안타까워서다.

그들이 주민들의 노후생활을 안내하는 상담역을 자청하며 만남의 기회를 늘려가고 인간의 죽고 사는 문제를 쉽게 풀어주는 탁월한 이야기꾼의 재능을 발휘한다면 독거노인들도 마음의 문을 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일부 수강자는 유명인사의 사생관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거나 자기 생각으로 소화해 재담을 펼칠 때 고령자들의 눈빛이 달라진다는 경험을 들려줬다. 아직도 고(故) 김수환 추기경이나 법정 스님 등 같은 시대를 살다 떠난 성직자들의 삶과 죽음에 깊이 공감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는 사실도 알려주었다.

그런데 한 전직 교사에게서 받은 질문은 의외였다. 노후를 맞이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생관은 그 내용이 무엇이든 다른 사람들에게 교육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내 호기심을 발동시킨 그의 요청에 따라 10여 년 전 인터뷰 의견서를 전두환 전 대통령 측근에게 전달했다. 사후 공개 원칙으로 인터뷰를 진행하면 어떻겠느냐는 뜻도 덧붙였다. 수많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그가 이에 응하리라고는 쉽게 상상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가 군인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삶을 정리해 들려주고자 하는 사생관이 있을지 모른다는 가냘픈 기대도 있었다.

그가 지난 2009년 사경을 헤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병문안할 때 분명 자신의 삶과 죽음의 문제도 가슴에 담았을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끝내 답을 듣지 못했다. 그가 악성 혈액암을 앓다 지난해 11월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을 때 마지막 한마디가 없었다는 아쉬움이 매우 컸다.

1998년 8월 30일 워커힐호텔 제이드 가든에서 열린 SK그룹 최종현 회장의 영결식. 중앙포토

1998년 8월 30일 워커힐호텔 제이드 가든에서 열린 SK그룹 최종현 회장의 영결식. 중앙포토

The JoongAng Plus 전용 콘텐트입니다.

중앙 플러스 처음이라면, 첫 달 무료!

인사이트를 원한다면 지금 시작해 보세요

지금 무료 체험 시작하기

보유하신 이용권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