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한진의 지금 중국은] 2023년 중국 경제와 시장을 보는 눈

중앙일보

입력

[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올해 중국 경제는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많은 대책을 내놓았지만, 효과가 크지 않다. 코로나 19 재확산과 부동산 경기 침체의 그늘이 짙다. 미국의 금리 인상과 우크라이나 사태 같은 외부 충격요인도 더해졌다.

예측이 빗나간 한 해이기도 하다. 경제성장률이 그렇다. 중국 금융정보 플랫폼 윈드(Wind)에 따르면 예측치와 실제 달성 수준 간 격차가 크다. 2020년 4% 포인트, 2021~2022년 각각 2% 포인트다. 올해는 연초 주요 기관 예측치의 평균이 5.2%였는데 실제 성장률은 3.2~3.4%(추정치) 수준이다. 베이징 캐피털(首創) 증권은 소매, 수출, 투자, 위안화 환율, 부동산 판매 등 주요 지표에서 모두 오차가 크다고 분석했다.

이런 현상은 세계 경제도 마찬가지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예측치보다 연말 실제 추정치가 2%가량 낮다. 중국도 세계도 격차가 큰 것은 연초에 올해 코로나 상황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낙관적 기대감이 클수록 경제 예측과 정책 대응 모두 오류로 이어지기 쉽다.

2023년은 어떨까?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내림세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긴축에서 방향 전환할 조짐이다. 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이 커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돌발변수가 없다면 충격이 약해질 것이다. 중국은 강력한 경기부양책이 예상된다. 중앙정치국 회의(12.6)가 적극적 거시정책 유지 방침을 밝힌 데서 알 수 있다.

내년 중국 경제는 균형 잡기가 중요한 해가 될 것이다. 단기 성과와 장기 목표, 방역 완화와 바이러스 방어, 부동산 회복과 투기 통제가 그 시험장이다. 어김없이 정치와 사회, 경제의 복잡한 요인들이 연결될 것이다. 다가올 미래를 정확히 내다보기는 불가능하지만, 추세적 흐름을 관찰하면 윤곽을 그릴 수 있다.

추세적 흐름은 변화의 동력이다.
2023년 중국 경제는 2가지 유리, 2가지 불리의 조합 속에 움직일 전망이다.

유리한 분야는 소비와 부동산이다. 지난 11월 방역 완화 정책과 부동산 경기부양책이 나오면서 전환점이 됐다. 소비와 부동산은 2022년 낙폭이 컸던 대표적인 영역이다. 내년 상승 폭이 커지면서 전체 경제 흐름을 주도할 수 있다. 다만 코로나 19 이전 시기로 돌아가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

2023년 중국 경제에서 가장 주목할 분야는 방역 정책 완화 이후의 효과다. 11월부터 도시별로 ‘방역 최적화 조치’(优化调整)를 내놓고 있지만 앞으로 상황은 시기별로, 지역별로 진폭이 클 수 있다. 단기간 내 2019년 수준으로 회복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국민 항체 보유율이 높지 않아 방역 완화 초기인 내년 초까지는 감염자 수가 많이 늘어날 수 있다.

앞서 많은 국가에서 그랬다. 중국의 각 지방에선 노인층 백신 접종률도 낮다. KPMG가 Our World in Data(OWID) 자료를 인용한 데 따르면 11월 28일 기준 80세 이상 인구의 백신 접종률이 이탈리아, 일본이 96% 이상인데 중국은 65% 수준이다. 지역별로 격차가 큰 의료 대응 역량도 부담 요인이다.

방역 정책을 완화한 여러 국가의 사례를 보면 우선 상승세가 기대되는 분야는 소비 서비스 업종이다. 하지만 어디서도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까지 회복한 사례는 아직 없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소멸하기 전까지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계속되고, 그 이후에도 일정 기간 상흔 효과(scarring effect)가 남을 것이다. 빅 데이터 전문가가 홍콩 등지의 예측 모형으로 감염자 정점 시점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지역별 피크가 12월 중순에서 1월 중하순까지로 넓게 분포한다.

또 여러 국가의 경험을 보면 방역 완화 이후 적정 수준 회복까지의 기간이 낙관적이면 1년, 중립적이면 1년 6개월이다. 회복 과정에서 경제 산업의 세부 부문별로 격차도 크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중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12.14)처럼 방역 완화 정책의 속도를 조절해야 할 수도 있다.

수출 환경과 재정정책은 불리한 분야다.수출 증가율은 낮아져 마이너스로 돌아설 수 있다. 각국의 코로나 상황 개선과 글로벌 생산력 회복세가 중국 수출엔 부정적 요인이기 때문이다.

한편 인민은행은 11월 중순 발표한 《2022년 제3분기 중국통화정책 집행 보고서》(2022年第三季度中国货币政策执行报告)에서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에서 중립으로 전환한다고 암시했다. 재정정책 강도가 약해지면 경기부양 효과가 작아지지만, 각급 정부의 재정 부담 수준을 고려하면 재정을 계속 풀 수는 없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부문의 레버리지 비율이 2022년 3분기에 49.7%다. 전년 말보다 3% 포인트 늘었다. (Wind 자료) 그 가운데 부채 증가의 80% 이상(2.5% 포인트의 증가분)이 지방정부에서 나왔다.

2023년 중국 경제와 시장을 보는 관찰 포인트를 제시한다

첫째, 방역에서 경기부양으로의 정책 선회다. 감염과 방어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거시경제 정책의 중심이 방역 최우선에서 경기부양으로 옮겨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방향은 관찰해야겠지만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발생 후 지난 3년이 큰 충격과 혼란의 시기였다면 2023년엔 상대적으로 점진적인 회복세에 접어들 전망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정책 관찰이다. 경제 회복 모멘텀을 잡으려는 중국은 경기부양책을 속속 발표할 것이다. 기업은 경기 침체기의 연구개발(R&D)이 중요하다. 어려울 때 투자가 미래 날개를 펴는 힘이 된다. 경제는 회복기의 정책시(政策市) 특성을 잘 살펴야 한다. 정책의 배경과 목표, 속도와 방향을 관찰하면 시장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중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그 특성이 강하다. 중요한 정책 결정 일정을 잘 챙겨 봐야 한다. 올해 중앙경제공작회의(12월 중하순)에 이어 내년 양회(3월 예정), 중앙정치국 회의(4월, 7월, 12월 예정), 전국금융공작회의(상반기 예정), 제20기 3중전회(10월 전후 예정)가 정책의 큰 줄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점이다.

둘째, 경제성장률이다. 언제나 세계의 관심이 쏠리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수치에 관한 한 낙관적 혹은 보수적 관점 모두 적합하지 않다. 중국 정부는 내년에도 목표를 내놓을 수 있다. 최근 10여년간 목표치 또는 목표 구간을 보자. 2010~2011년은 각각 8.0%, 2012년부터 3년은 연속 7.5%, 2016~2021년은 연도별로 6% 이상, 6.0~6.5%, 6.5%, 6.5~7.0%였고 2022년은 5.5%였다. 이 흐름으로 보면 정부가 연착륙에 매우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확실성을 압도하는 상황에서 수치 예측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올해 예측치는 이미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성장률은 총량과 증가 속도보다는 구성의 변화를 보는 것이 좋다. 방역 완화 효과가 계속된다면 부문별 기여도 측면에서 소비의 증가 폭이 커질 것이다. 기업들은 소비 중에서도 세부 업종별로 더욱 탄력을 받는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장의 기저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중국에선 경제성장률의 20% 정도를 기저효과로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연간 성장률을 5.5%로 가정해 보자. 1.1% 포인트는 전년 대비 기저효과 때문이다. 80%인 4.4% 포인트가 순수 경제 규모의 성장분이다. 코로나와 같은 충격요인이 클수록 더욱 잘 따져볼 부분이다.

셋째, 유동성 전망이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상대적으로 약화할 것이다. 중국의 소비자물가(CPI)는 상반기 상승-하반기 하락 흐름 속에 연간 2% 수준으로 보는 분석이 많다. 통제할 수 있는 범위다. 생산자물가(PPI)는 상반기 하락-하반기 상승 흐름이다. 연간 수준으로 여전히 마이너스일 가능성이 크다.

올해 상승 국면이었던 금리는 내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펀더멘털(경제 기초) 회복세, 소비와 부동산 부문의 탄력 성장 수준, 물가 변동 등에 따라 결정되는 구조다. 위안화 환율은 미·중 관계, 지정학적 위험 수준에 따라 평가 절상과 절하를 반복할 것이다. 다만 양방향 모두 폭은 제한적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기타 세부 지표별 흐름은 수치보다는 방향성을 관찰하는 것이 좋다.

글 박한진 중국경제관측연구소 소장

더차이나 칼럼

더차이나 칼럼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