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산 이기자” 남는 배추로 만든 충북 ‘의병김치’ 완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22면

지난 1일 충북도 관계자들이 김치공장 앞에서 못난이 김치 출하를 축하하고 있다. [사진 충북도]

지난 1일 충북도 관계자들이 김치공장 앞에서 못난이 김치 출하를 축하하고 있다. [사진 충북도]

지난 13일 충북 괴산군 청천면의 한 배추밭. 농민 장흥석(69)씨가 진눈깨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아직 잎이 새파란 배추를 살피고 있었다. 지난 8월 20일께 장씨 친형이 심은 배추다. 4620㎡(1400평) 규모 밭에 수확을 포기한 배추 수천 포기가 그대로 있었다.

올가을 전국적으로 배추가 과잉 생산되면서 판로를 찾지 못해 골칫덩이 신세가 됐다. 이 밭에서 300m 떨어진 장씨 밭에도 멀쩡한 배추가 보였다. 장씨는 “양지에 있던 배추라 얼지도 않았고, 속도 꽉 찼다”며 “아무리 싸도 사가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밭에 그냥 놔둔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괴산 청천·청안면에는 산지 폐기를 코앞에 둔 배추를 수확하는 작업반이 돌고 있었다. 배추를 가져다 이른바 ‘못난이 김치’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못난이 김치는 지난 1일 충북도가 상표 등록한 김치 브랜드다.

가격 급락으로 제때 수확하지 못한 배추로 만든 김치다. 농가가 시세보다 싼 가격에 배추를 팔면, 김치 제조업체는 많은 이윤을 남기지 않고 김치를 파는 방식이다.

덕분에 못난이 김치는 시중에 파는 국산 김치보다 20~40% 저렴하다. 가격은 한 상자당 2만9500원으로 책정됐다. 1만5000원∼2만원선인 중국산 김치보단 다소 비싸지만, 3만5000원~5만원대를 웃도는 국산 김치와 비교하면 훨씬 싸다.

충북도는 지난 1일 시범사업으로 김치 20t을 구내식당과 적십자 등에 공급했다. 2차 납품은 한국 외식업중앙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정했다. 외식업중앙회 가족공제회 사이트에서 주문을 받은 지 6시간 만에 계약 물량 10t이 모두 팔렸다.

13일부터는 10㎏들이 김치 1000박스가 전국 식당에 차례로 공급됐다. 김현옥 충북도 식품안전팀 주무관은 “이름만 못난이지 국산 배추와 신선한 속재료를 썼기 때문에 가격과 질 모두 충족하는 착한 김치”라고 말했다.

못난이 김치는 김영환 충북지사 제안으로 탄생했다. 김 지사는 “김장철 막바지에 덜 자란 배추가 B급 취급을 받아 출하되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다”며 “버려지는 농산물을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못난이 김치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못난이 김치를 ‘의병김치’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알몸 김치, 방부제 파동 등 중국산 저가 김치가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위협하고 있다”며 “못난이 김치를 통해 ‘김치만은 우리 것을 먹자’는 김장의병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납품한 못난이 김치는 제조업체가 덤으로 생산한 물량이다. 업체 측은 마진 없이 김치를 팔았다고 한다. 배추를 싸게 사들여 매입 단가는 낮췄지만, 김치 소비자가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반 인건비와 배추 운송 비용 지원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

충북의 배추 생산이 10월~11월에 몰려있다는 점에서 못난이 김치를 연중 생산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배추 수급도 과제다. 작황이 부진하면 팔지 못한 배추를 구해다가 시세보다 저렴한 김치를 만드는 것도 예단하기 어렵다.

이정기 충북도 농식품산업팀장은 “배추 수급 현황 등을 고려해 생산 물량과 시세를 맞출 것”이라며 “인건비 절감을 위해 도시농부와 생산적 일손봉사 인원을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충북도는 김치 사업 외에 내년부터 못난이 상표를 단 사과·감자·고구마 등 농작물을 출시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