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핵 때릴 곳 고르겠단 뜻"…서울 찍은 '北정찰위성 로켓' 노림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은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한 미사일 두 발의 정체와 관련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 중요 시험을 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북한이 한국과 미국의 비핵화 협상 제안에 아랑곳하지 않고, 핵·미사일 포함 '국방력' 강화 노선을 고수하겠다고 분명히 밝히는 행보라는 분석이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을 진행했다"면서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관문 공정을 거쳤다"고 19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공개한 이번 시험 발사체가 날아가는 모습.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을 진행했다"면서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관문 공정을 거쳤다"고 19일 밝혔다. 사진은 이날 공개한 이번 시험 발사체가 날아가는 모습. 뉴스1

북한 발표는 “중거리탄도미사일(MRBM)을 발사했다”는 한ㆍ미 군 당국의 판단과 달리 위성발사용 로켓을 쐈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북한은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며 로켓 발사 장면과 함께 상공에서 촬영한 서울ㆍ인천항 사진을 이날 공개했다.

이를 두고 군 안팎에선 “정찰위성으로 확보한 남측 정보를 이용해 전술핵 타격 등 군사전략을 짜겠다는 포석이 깔린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날 북한은 국가우주개발국 명의로 “(이번 시험발사가) 위성촬영 및 자료전송 계통과 지상관제 체계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각종 장치를) 설치한 위성 시험품을 탑재한 운반체(로켓)를 500㎞ 고도까지 고각으로 발사시켰다"고 설명했다.

전날 군 당국은 두 발사체의 비행거리(약 500㎞)만 밝힐 뿐 정점 고도나 속도 등 탐지된 다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19일에도 군 관계자는 북한 발표와 관련해 "탐지 제원을 바탕으로 북한이 어제 발사한 것은 MRBM이라는 한·미 정보당국의 평가는 변함이 없다"고만 말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이튿날 발표했다. 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공개한 서울(오른쪽)과 인천항 사진. 연합뉴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이튿날 발표했다. 북한이 위성시험품 탑재체에서 촬영했다고 공개한 서울(오른쪽)과 인천항 사진.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월 27일과 3월 5일에도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 시험을 했다”며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쐈다. 북한은 이번 발사에 대해선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 관문 공정을 거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실제 정찰위성을 발사하기 전 마지막 시험을 했다는 의미다.

당초 전문가들은 한ㆍ미ㆍ일 당국이 밝힌 비행 특성을 토대로 고체연료 엔진을 쓰는 ‘북극성-2형’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했지만, 북한이 공개한 사진상 로켓은 새로운 형태의 액체연료 추진 발사체였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발사체 아랫부분에 안정화 날개를 갖춘 것은 탄도미사일이 아닌 전형적인 위성 발사체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정찰위성으로 핵공격 목표 결정"

그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찰위성 확보에 강한 집착을 보여왔다. 지난 3월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해선 “군사정찰위성 개발과 운용의 목적은 남조선 지역과 일본 지역, 태평양 상에서의 미 제국주의 침략 군대와 그 추종 세력들의 반공화국 군사행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화국 무력 앞에 제공하는 데 있다”고 목표까지 밝혔다.

이와 관련,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핵 공격을 위한 감시ㆍ정찰(ISR) 역량의 핵심 자산이 정찰위성인 만큼 북한이 사활을 걸고 정찰위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이 같은 능력을 바탕으로 남한 어디를 전술핵으로 타격할지 결정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권 전 교수는 “항공기를 통한 정밀 타격을 두려워하는 북한 입장에서 관련 징후나 항로를 확인할 수 있는 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짚었다.

또 김 위원장은 지난해 1월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직접 '국방력 강화 5개년 계획'의 5대 핵심 과제라며 군사정찰위성과 함께 ▶극초음속 미사일 ▶수중 및 지상 발사 고체 추진 ICBM ▶핵추진 잠수함 및 수중발사 전략핵무기 ▶무인정찰기 개발을 지시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 논의와 무관하게 정해진 일정대로 무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북한은 국방력 강화를 목표로 자신들이 설정한 스케줄대로 핵ㆍ미사일 능력을 차근차근 고도화하고 있다”며 “미국과 한반도 비핵화 협상을 통해 얻는 제재 완화보다 국방력 증대를 통한 협상력 강화, 강대강 원칙에 따른 대미ㆍ대남 압박에 주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체 ICBM, 다탄두 분리 실현할 수도 

북한이 지난 15일 동창리 발사장에서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 연소실험을 한 만큼 내년 4월 인공위성을 실은 고체연료 추진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가능성도 있다. 이는 사실상 고체 추진 ICBM 확보를 뜻한다.

또 일각에선 북한이 여러 개의 인공위성을 탑재한 장거리 로켓을 쏘아 올릴 가능성도 제기한다. 북한이 현재까지 성공하지 못한 다탄두 각개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를 실증함으로써 미 본토를 겨냥한 ICBM을 완성할 것이란 우려다.

북한은 지난 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장착할 대출력 고체연료발동기(로켓 엔진)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이튿날 발표했다.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장착할 대출력 고체연료발동기(로켓 엔진) 지상분출시험에 성공했다고 이튿날 발표했다. 연합뉴스

다만 북한이 제대로 된 정찰위성을 띄울지는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군사시설과 전차 등을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 2~3m 수준의 전자광학(EO) 장비는 확보할 수 있더라도, 악천후와 야간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전천후 장비인 적외선(IR) 센서와 고성능 영상레이다(SAR)는 구하기 힘들 것으로 평가한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북한이 정찰위성을 궤도(고도 500㎞)에 올릴 정도의 실력은 갖췄지만, 위성궤도에서 목표 위치로 정확히 이동하고 위성을 제어·관제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고난도 기술과 첨단 장비가 필요한데, 북한 독자적으로 개발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 안팎에서 중국·러시아가 북한의 위성개발을 도와줬다고 의심하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한다면 공언대로 내년 4월 중이 될 가능성이 높다. 김일성 생일(4월 15일ㆍ태양절)에 맞춰 발사할 것이란 게 군 안팎의 관측이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