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객석에 시각장애안내견도…수어통역 6명 무대서 호흡한 연극 '스카팽' 배리어프리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연극 '스카팽' 배리어프리 버전에서 호흡을 맞춘 주연 배우 이중현오른쪽), 수어통역사 최황순씨가 5일 서울 명동 예술극장에서 포즈를 취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연극 '스카팽' 배리어프리 버전에서 호흡을 맞춘 주연 배우 이중현오른쪽), 수어통역사 최황순씨가 5일 서울 명동 예술극장에서 포즈를 취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스카팽’의 수어식 이름은 ‘모자 쓴 남자’(엄지와 검지로 모자챙을 잡는 손모양)죠. 실제 농인 배우가 보곤 역대 배리어프리(장애인도 즐길 수 있도록 수어통역, 음성해설, 자막 등을 제공하는 것) 버전 중 배우 연기와 수어 호흡이 가장 완벽했다더군요.”(최황순 수어통역사)
“동선도 많고 합도 많이 맞춰야 하는 연극이라 처음엔 기존 공연과 관람 차이가 크면 어쩌지, 두려웠어요. 첫 회 공연을 하고 관객들은 똑같이 즐긴다는 걸 느낄 수 있었죠.”(배우 이중현)
지난 5일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만난 연극 ‘스카팽’(연출‧각색 임도완) 주연 배우 이중현(39)과 최황순(49) 수어통역사의 말이다.
올해 세번째 시즌을 맞은 ‘스카팽’은 17세기 프랑스 희극 작가 몰리에르(1622~1673)의 원작이 토대. 사랑하는 여인을 따로 둔 재벌가 아들들이 부모가 정한 정략결혼을 막기 위해 꾀 많은 하인 스카팽과 계략을 꾸미는 소동극이다. 2019년 초연 이래 '국립극단에서 가장 웃긴 연극'으로 이름나며 이듬해 재연, 지난 10~11월 지방 투어까지 열띤 호응을 얻었다.
명동예술극장에서 지난달 23일 막을 올려 이달 25일까지 공연하는 시즌3는 처음으로 총 3회차(지난달 26~28일)의 배리어프리 회차를 도입했다. 6명의 수어통역사가 11명의 배우와 함께 무대에 올랐는데, 일반 회차 못지 않게 객석이 꽉 찼다.

국립극단 희극 '스카팽' 배리어프리 버전은 지난달 26~28일 총 3회차 공연됐다. 한국 수어 통역 6명이 직접 무대에 올라 각 배역의 수어 통역을 맡고, 음성 해설과 한글 자막도 함께 제공됐다.맨왼쪽이 황 통역사, 가운데가 이중현씨다. 사진 국립극단

국립극단 희극 '스카팽' 배리어프리 버전은 지난달 26~28일 총 3회차 공연됐다. 한국 수어 통역 6명이 직접 무대에 올라 각 배역의 수어 통역을 맡고, 음성 해설과 한글 자막도 함께 제공됐다.맨왼쪽이 황 통역사, 가운데가 이중현씨다. 사진 국립극단

‘스카팽’은 정치인 성대모사, ‘땅콩 회항’ 등 시대상을 랩까지 동원해 리듬감 있게 표현한 대사와 애드리브, 아크로바틱을 방불케 하는 배우들의 몸짓과 의자 등 소품까지 척척 맞는 합이 특징이다. 그런 만큼 수어통역사들이 함께하는 배리어프리 버전은 동선 짜는 것부터 쉽지 않았다. 몰리에르를 본뜬 동명 캐릭터를 제외하고 얼굴에 흰 분칠을 한 배우들과 어울리게 분장 및 복장까지 갖췄다.
구리‧거제‧제주‧대전 지역 투어 일정 때문에 배리어프리 버전을 위해 주어진 연습 시간은 단 2주. 초연부터 스카팽 역을 맡아온 이중현 씨는 “수어통역사가 들어오면 기존 합을 유지할 수 있을지, 어디에 배치해야 할지 걱정도 많았다. 임도완 연출, 배우들과 고민 끝에 통역사도 배우처럼 같이 등장시키기로 했다”고 돌이켰다.
황 통역사는 “기존 배리어프리 공연은 저희가 동선을 짜서 연출에게 제안해왔지만 ‘스카팽’은 공연팀이 같이 만들어주셔서 결과적으로 배우와 가장 싱크로율이 높았다”고 했다.
‘스카팽’ 배리어프리 버전은 첫 장면부터 관객에게 ‘마법’을 건다. 몰리에르를 본뜬 동명 캐릭터와 함께 등장한 전담 수어통역사가 수어 통역 뿐 아니라 몰리에르와 지팡이를 주고받으며 마치 그의 조수처럼 연기를 한다. 수어통역사들을 무대에 자연스럽게 있게 하기 위한 임 연출의 묘안이었다. 다른 수어통역사들도 배우의 그림자가 되어 소품 의자를 나르거나, 극중 연극의 관객처럼 자리하며 볼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25일까지 공연하는 국립극단 '스카팽' #수어통역 6인 배리어프리판 3회차 출연 #주연 이중현 "시각장애인 안내견도 관람 #함께 하는 뿌듯함 컸죠…시도 늘었으면"

이씨는 “‘스카팽’은 배우들끼리도 축제처럼 공연하는 행복한 작품이다. 공연 중 관객들 눈을 보게 되는데, 장애인‧비장애인 관객들이 함께 흥미롭게 봐주셔서 뿌듯했다”면서 “배리어프리 둘째날은 객석에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이 있었는데 배우들이 ‘야!’하면서 등장할 때 놀라는 게 귀여워서 저희도 모르게 시선이 집중됐다. 비장애인 관객들도 공연을 장애인들과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느낀 바가 많았다고 하더라. 이런 시도가 더 많아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1997년 민간 수화통역사 자격증 시험 1기로 합격하며 이듬해 활동을 시작한 최 통역사는 2020년 김홍남 수어통역사와 함께 방송‧강의‧행사‧문화예술콘텐트‧교육 분야를 아우르는 공인수어통번역 회사 ‘잘함’을 설립한 후 배리어프리 공연 참여가 부쩍 늘었다고 했다.
1년에 두세 편 하던 것이 10편으로 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공연이 활성화하면서 수어통역 및 자막 제공 공연 영상물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한국수화언어법(한국수어가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지닌 고유 언어임을 밝히고 사용자의 언어권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이 시행된 것에 더해, 자발적으로 배리어프리 버전을 만드는 문화콘텐트업계 관계자들이 늘어난 것도 배리어프리 버전 증가에 한 몫을 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연극 '스카팽' 배우 10인과 6명의 수어통역사가 피날레를 장식하는 장면. 실제 공연 음악을 실시간 연주하는 음악감독까지 총 17명이 무대에 올랐다. 사진 국립극단

연극 '스카팽' 배우 10인과 6명의 수어통역사가 피날레를 장식하는 장면. 실제 공연 음악을 실시간 연주하는 음악감독까지 총 17명이 무대에 올랐다. 사진 국립극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극단만 해도 지난해 ‘로드킬 인 더씨어터’ 공연 전회차에 배리어프리 서비스를 제공한 데 이어, 장애와 예술을 주제로 한 작품 개발 사업 일환으로 장애‧비장애 배우가 함께 출연하는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 ‘커뮤니티 대소동’ ‘소극장판-타지’ 등을 개발하기도 했다.
올해는 ‘기후비상사태:리허설’ ‘앨리스 인 베드’ ‘세인트 조앤’ ‘극동 시베리아 순례길’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 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등에 수어통역‧한글자막을 제공했다.
최 통역사는 "아동극 배리어프리 버전도 늘어나는 추세"라며 “서로 대화가 힘든 청인 부모와 농인 자녀 또는 그 반대의 가정을 돕기 위해 수익이 생기지 않아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수어는 시각어여서 관념적 연극일수록 통역이 어렵다. 배우의 감정과 대사 크기를 수어로 정확하게 전달하려 노력한다”면서 “장애인도 연극을 즐길 수 있는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더 다양한 장르, 다양한 극단 작품으로 배리어프리 공연 선택지가 늘어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