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IT기업, 교육청, 대학이 뭉친 이유…“디지털 리터러시가 곧 안전”

중앙일보

입력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One-Team’ 출범식에서 디지털 시민 One-Team 소속 기업과 기관 관계자들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디지털 세상 구현을 위해 함께 나서겠다는 취지의 공동 선언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KT]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One-Team’ 출범식에서 디지털 시민 One-Team 소속 기업과 기관 관계자들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디지털 세상 구현을 위해 함께 나서겠다는 취지의 공동 선언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KT]

사람을 직접 만나기보다 디지털 공간에서 관계 맺는 일이 더 익숙해진 요즘, 기술을 일상에서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삶에 스며드는 속도를 사람들이 따라가지 못하면 불편을 넘어 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정보기술(IT)·금융·법률 관련 기업과 의료·교육기관 등이 한자리에 모였다.

무슨 일이야 

KT는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디지털 시민 원팀’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KT를 비롯해 22개 기업·기관이 모여 올바른 디지털 리터러시 구축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 것. ‘디지털 시민’은 올바른 마음과 행동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만드는 사회구성원을 뜻한다고 KT 측은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글코리아, 인텔코리아, BC카드, 야놀자 등 디지털기업 관계자와 조희연 서울교육감, 임태희 경기교육감,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임채성 서울교대 총장 등 교육 관계자가 모였다. 윤동섭 연세의료원장을 비롯해 신한금융그룹, 우리금융그룹, 법무법인 세종, 법무법인 태평양, 김앤장 법률사무소, 한국언론진흥재단 등의 관계자도 참석했다.

KT 관계자는 “지난 8월 민영화 20주년을 맞아 제시한 KT의 4가지 미래 방향 중 하나가 디지털 안전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활동”이라며 “디지털 시민 원팀의 주축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왜 중요해

KT의 디지털 시민 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의 모습. [사진 KT]

KT의 디지털 시민 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의 모습. [사진 KT]

지난 2020년 한국 사회를 경악하게 만들었던 ‘n번방’ 사건,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지는 보이스피싱, 고령 사회의 새로운 고민거리로 떠오른 ‘키오스크 문맹’. 이들의 공통점은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과 맞물려 발생한 사회 문제란 점이다.

대검찰청이 발표한 범죄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통신매체이용음란죄 발생 건수는 278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70건)과 비교해 3배 이상이 됐다. 피의자 상당수가 10·20대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진 상황. 이 때문에 디지털 기술과 관련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분야 이해관계자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이번에 출범한 디지털 시민 원팀의 목적도 바로 이것. 각자가 보유한 서비스와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집중해 실질적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세부 활동은 

구현모 KT 대표가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One-Team’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KT]

구현모 KT 대표가 7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One-Team’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KT]

디지털 시민 원팀 소속 기업·기관들은 각각 ▶교육 ▶기술·연구 ▶피해지원 등 3개 분과로 나눠 협의체 활동을 진행하기로 했다. 교육분과는 전 국민 대상 디지털 활용 교육에 나선다. 전 생애주기별 맞춤형 콘텐트를 제작하고 인공지능(AI) 스피커와 챗봇 등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 커리큘럼도 마련할 예정. 디지털 시민 점수 모델을 개발해 교육·진단·피드백·교육이 선순환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기술·연구 분과에서는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부작용을 막을 기술을 고도화한다. 금융사를 비롯한 디지털 기업들이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예방 기술을 위해 속도를 낼 예정.

피해 지원 분과에는 로펌·의료계가 참여해 디지털 부작용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의 법률상담과 심리치료 등 사후 대처를 돕는다. 실질적인 법 제도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

앞으로는

디지털 시민 원팀은 KT를 구심점으로 하는 사무국을 두고 주요 경영진을 포함한 정기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연차보고서 발간, 포럼 개최 등을 통해 추진 성과를 공유하고 신규 과제 발굴에도 적극 나설 예정. 실질적 성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더 많은 기업과 기관의 참여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구현모 KT 대표는 “우리 사회의 갈급한 문제 해결은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뜻이 맞는 민간 기업과 기관이 자발적으로 추진할 때 훨씬 속도감과 파급력 있게 진행된다”며 “미래 세대를 위해 디지털 시민 원팀이 끝까지 역할을 해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