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상 돌아가는 걸 보고 있으면 정치 혐오자가 될 것 같아요. 품격이라곤 찾아볼 수 없고, 우리가 뽑은 정치인들의 수준이 이건가 한숨이 나옵니다.” 한 지인의 말이다. 라디오 시사 프로의 한 출연자는 “대통령이 맘에 안 들다가도 야당 대표를 바라보면 그보다는 낫다 싶고, 야당을 비판하다가도 대통령을 보면 저보다는 낫다고 하면서 서로 위안하는 게 요즘 세간의 정서”라고 전했다. 안타까운 얘기지만 동의할 사람이 많을 줄 안다. 지난달 갤럽 조사에는 여ㆍ야 비호감도가 역대 최고였다. 정치권은 각자 강성 지지층만 바라보며, 국민 상당수가 정치 비호감을 넘어 절망감을 토로하고 있다는 것을 애써 외면하는 듯하다.
우선 정부는 이태원 참사 한 달을 훌쩍 넘기도록 실무자들의 잘잘못을 따질 뿐, 책임 있는 이들의 책임 지는 행동은 없다. MBC에 대한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는 MBC에 ‘탄압받는 언론사’라는 면죄부를 줬을 뿐이다. 당 대표 방탄에 여념 없는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의 일거수일투족을 스토킹하는 수준이고, 당 대변인이 유튜브 매체의 가짜뉴스 유포에 ‘협업’하는 초유의 일까지 벌어졌다. 이른바 ‘청담동 술자리’ 제보가 거짓말로 드러났음에도, 김의겸 의원은 요지부동이고, 더 탐사는 한동훈 장관의 자택을 찾아가는 과정을 생중계했다. 취재 활동임을 내세우고 있지만 명백한 사생활 침해고 괴롭힘이다. 이 과정에서 강성 지지자들의 수퍼챗(유튜브 라이브 방송 중 채팅으로 보내는 후원금)이 터지고, 구독자가 늘었다.
날로 발호하는 여러 극단주의 세력들을 잠입 취재한 율리아 에브너의 『한낮의 어둠』에 따르면 “유튜브는 인터넷에서 극우 극단주의를 키우는 최대 온상 중 하나”다. 서구의 극우 활동가ㆍ매체들은 비판적 기사를 쓴 주류 언론인들의 집과 사무실을 찾아가는 장면을 SNS로 중계한다. 취재를 빙자한 이런 인신공격적 콘텐트는 조회 수를 높이고 구독료를 올려주는 돈벌이 수단이자, 지지자들을 즐겁게 하고 세를 과시하는 오락물로도 제공된다. 에브너 역시 잠입 취재 중 신분이 알려지면서 같은 공격을 받았다.
지난 2017년 독일은 세계 최초로, 극단주의 콘텐트를 삭제하지 않은 플랫폼 사업자에게 최대 500만 유로(68억원)의 과태료를 물리는 ‘네트워크 집행법’을 제정했다. 표현의 자유 위축, 사이버 검열이라는 논란이 많았지만 온라인 극단주의가 오프라인의 테러와 극단적 시위로 이어지는 현실을 묵과할 수 없다는 이유였다. 유럽연합은 지난 4월 유사한 ‘디지털 서비스법’ 제정에 합의했고, 영국 의회에는 ‘온라인 안전법’이 계류 중이다.
최근 청년참여연대의 ‘유튜브 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슈퍼챗 수익 상위 5개 채널이 그간 슈퍼챗으로 벌어들인 돈은 54억원에 달했다. 1위인 가로세로연구소를 비롯해 5개 중 4개 채널이 진보ㆍ보수 편향성이 강한 정치 채널이었다. 이들 5개 채널이 7~11월 초 혐오표현, 괴롭힘, 선정적 내용(섬네일ㆍ제목)으로 벌어들인 슈퍼챗도 6800만원에 달했다.
청년참여연대는 “이번 조사로 확인한 혐오 콘텐트 수익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규제의 사각지대인 “유튜브에서 1시간만 자극적이고 선동적인 방송을 해도 수천 수백만 원 수익을 낼 수 있으니 더 많은 유튜버가 선동과 혐오표현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혐오 콘텐트를 규제하고, 플랫폼 기업에 분명한 책임과 의무를 지우는 제도 마련도 촉구했다. 이들은 또 유튜브가 혐오 콘텐트에 대한 자체 가이드라인을 두고 있으나, 정작 구글코리아에는 유튜브 콘텐트 모니터ㆍ관리 인원(부서)이 한 명도 없어 이용자가 직접 미국 캘리포니아의 구글 본사와 소통해야 하는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유튜브 정치 채널 14곳은 슈퍼챗 등으로 국회의원 1인당 평균 후원액인 1억3525만 원보다 높은 수익을 올렸다. 극단적일수록 돈이 된다는 것을 학습한 일부 수익추구형 정치 유튜버들의 폐해가 뻔한데도, 정치권은 거리를 두거나 제도 개선을 고민하기는커녕 진영 논리를 따라 이들과 ‘협업’ 중이다.
국민 마음 못 얻는 비호감정치에 #극단주의 정치 유튜버까지 가세 #개선보다 이용하려는 정치인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