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돈 당분간 통장에 묻겠다"…한국 부자 42만명이 노리는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요즘 부자들은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 국ㆍ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정기예금에 돈을 묻고 있다. 현금을 손에 쥔 부자들의 투자 ‘종착지’는 부동산이다. 장기 유망 투자처로 현재 살집과 거주 외 주택, 빌딩 등을 꼽았다.

4일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2 한국부자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인 부자는 1년 사이 3만1000명 불어난 42만4000명이다. 전체 국민(약 5163만명)의 0.82% 수준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올해 기준 부자의 자산은 평균적으로 부동산과 금융자산에 각 56.5%, 38.5%의 비율로 나뉘어있었다. 2021년(부동산 58.2%ㆍ금융 36.3%)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이 줄었다. 일반 가구의 부동산ㆍ금융자산의 비율(79.5%, 16.1%)과 비교하면 부자들의 금융자산 비중은 2.4배에 이른다.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용 부동산(27.5%), 현금 등 유동성 금융자산(14.2%), 빌딩ㆍ상가(10.8%), 거주용 외 주택(10.8%), 예적금(9.5%), 주식ㆍ리츠ㆍETF(7.9%) 순이었다.

이들이 보유한 전체 금융자산은 2883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가계의 전체 금융자산(4924조원)의 58.5%를 차지한다. 부자들의 1인당 평균 금융자산은 지난해 기준 67억9000만원으로 1년 전과 견줘 1억3000만원 늘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요즘 부자들은 정기예금 같은 안전자산을 선호한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부자들이 앞으로 돈을 굴리는 데 있어 가장 우려하는 위험 요인으로 금리 인상(응답자의 47%, 중복 응답)을 꼽았다. 뒤를 이어 인플레이션(39.8%), 부동산 규제(35.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35%), 세금인상(32.5%) 순이었다. KB경영연구소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400명 자산가를 대상으로 지난 6월 1일부터 49일 동안 설문 조사한 결과다.

올해 주가가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졌다는 점도 부자들이 현금자산을 선호하는 이유다. 코스피는 2일 기준 2434.33으로 연초(2988.77)대비 18.6% 급락했다. 그 결과 “올해 주식 등 금융투자로 수익이 발생했다”고 응답한 부자는 전체의 17%로 1년 전(42%)보다 크게 줄었다. 이와 달리 “손실이 났다”고 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5.8%에서 18.8%로 급증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2021년에 한국 부자들은 부채 상환을 우선하는 전략으로 대응했다. 주택담보대출ㆍ신용대출 등 금융부채를 보유한 부자의 비중은 2019년 56.5%에서 2020년과 2021년에는 각 43.8%로 낮아졌다.

부자의 상당수는 보수적인 시각으로 바뀌었다. 앞으로 1년 정도는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서 투자 비중을 크게 늘리지 않을 계획이다.  KB금융 설문에서도 부자의 80~90%는 예ㆍ적금과 주식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 자산에 대해 현재 투자 금액을 그대로 유지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예ㆍ적금의 경우에는 “앞으로 투자를 늘리겠다”고 응답한 비중은 29%로 다른 상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채권(9%)과 펀드(8%)에 투자를 늘리겠다고 응답한 부자는 10% 미만이었다. 특히 주식은 응답자의 19%가 “앞으로 투자비중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자료: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

자료: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

자산가들은 중ㆍ장기적으로 수익이 예상되는 투자처로는 부동산을 꼽았다. 이 가운데 투자용 주택(거주 외 주택, 중복 응답자의 43%)을 가장 선호했다. 다음으로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ㆍ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38%), 토지(35%) 등 순이었다. 지난해 가장 인기가 많았던 주식은 투자 선호가 잦아들었다. 올해 주식을 유망 투자처로 꼽은 응답자는 지난해(61%)의 절반 수준인 31%다.

황원경 KB경영연구소 부장은 “요즘 부자는 현금을 모으면서 부동산 투자 시기를 엿보고 있다”며 “특히 임대 수익 목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 주거용 부동산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이 보유한 전체 부동산 자산 가치는 지난해 말 기준 2361조원으로 1년 사이 14.7% 늘었다고 덧붙였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국 부자들은 암호화폐 대해선 관심이 낮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현재 코인에 투자한 사례는 응답자의 7.8%로 지난해(8.8%)보다 더 줄었다. 부자의 60%는 “앞으로도 투자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코인거래소에 대한 신뢰가 낮고, 자산가치 변동성이 크다는 점이 자산가들이 암호화폐 투자를 멀리하는 이유였다.

한편 지난해  부자 수는 2020년보다 8.0% 늘었지만, 증가율은 1년 전(10.9%)보다 떨어졌다. 지난해 주가지수 상승세가 꺾이면서 부자 수 증가 속도도 더뎌졌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또 한국 부자들은 서울(19만1000명)을 포함해 경기도(9만4000명), 인천(1만3000명) 등 수도권에 70.3%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를 자산 규모별로 나눠보면, 부자의 90.7%(38만5000명)가 ‘10억원∼100억원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로 분류됐다. 보유 금융자산이 ‘100억원∼300억원미만’인 ‘고자산가’는 7.3%(3만1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2.0%(9000명)를 차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