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학생들 또 밥 대신 빵 먹었다…학교 비정규직 6번째 파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정규직과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25일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급식 대신 샌드위치와 머핀 등 대체 급식을 받아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정규직과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25일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급식 대신 샌드위치와 머핀 등 대체 급식을 받아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학교 비정규직이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이들이 종사하고 있는 학교 급식과 돌봄 교실이 일부 중단됐다.

25일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환승센터 인근에서 총파업대회를 열었다. 이날 전국에서 모인 5000여명의 노조원은 연두색 조끼를 입고 ‘비정규직 철폐’와 ‘임금 인상’, ‘교육복지 예산 확충’ 등 구호를 외쳤다.

이날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전국여성노동조합이 연합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정규직과 차별 해소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나섰다. 학비연대 조합원은 약 10만 명으로 급식조리원, 돌봄전담사, 방과후교사 등이 포함돼있다.

서울 학교 144곳, 빵 주거나 급식 중단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관내 교육공무직원 2만4789명 중 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1382명(5.58%)이었다. 당초 주최 측이 예상했던 5500명보다는 작은 규모다.

이날 파업으로 서울 소재 유치원과 초‧중‧고 1413개교 중 144개교가 대체식을 제공하거나 급식을 하지 않았다. 빵이나 음료 등으로 대체 급식을 한 학교가 130개교로 가장 많았고, 도시락을 가져오게 한 곳은 2곳이었다. 급식을 하지 않은 학교 12개교 중 10개교는 파업으로 인해 학사일정을 조정했고, 나머지 2곳은 정기고사 기간이었다.

서울 지역 돌봄교실 1883개 중 10개가 운영되지 못했지만, 돌봄교실 전부가 문을 닫은 학교는 없었다. 파업 참가 인원 중 조리실무사가 606명으로 가장 많았고, 특수교육실무사(167명)‧조리사(123명)‧과학실무사(87명)‧교무실무사(80명)가 뒤를 이었다.

“학교 파업 해마다 되풀이…노조법 개정해야”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집단임금교섭 승리를 위한 학교비정규직 11.25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학교비정규직 합리적 임금체계 마련, 명절휴가비 등 복리후생수당 정규직과 동일 기준 적용, 학교급식실 폐암 산재 관련 종합대책 마련 및 배치기준 하향,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집단임금교섭 승리를 위한 학교비정규직 11.25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학교비정규직 합리적 임금체계 마련, 명절휴가비 등 복리후생수당 정규직과 동일 기준 적용, 학교급식실 폐암 산재 관련 종합대책 마련 및 배치기준 하향,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앞서 대규모 파업이 예고되자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급식 중단이 우려되는 학교에는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도시락을 챙겨오게 하고, 빵이나 우유 같은 대체 급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지난해에는 서울 교육공무직원 2만 4065명 중 1740명(7.2%)이 참여해 119개 학교에서 급식 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학비연대 파업은 2017년을 시작으로 이번이 6번째다. 파업이 연례행사처럼 계속되자 교육계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은 “현재 학교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교육공무직 등의 파업 투쟁으로 급식 공백, 돌봄 공백을 속수무책 감내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한국교총은 노동조합법을 개정해 학교를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되면 파업 시 대체 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