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범석의 살아내다

"암말기父 매주 찾아봬라" 의사 처방에...아들 "바빠서 그건 좀"

중앙일보

입력

김범석 서울대 암병원 교수

나는 고발한다. J’Accuse…!’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시골에 사는 팔순 노인이 폐암4기 진단을 받았는데 항암치료를 거부했다. 보다 못한 서울 큰아들이 아버지를 억지로 서울대병원으로 모시고 왔다. 환자는 항암치료를 거부했고 아들은 강력히 항암치료를 원했다. 환자와 아들은 진료 내내 실랑이를 벌였다. 이 둘 사이에서 내가 환자 손을 들어주자 아들은 강력히 항의했다.

“선생님, 항암치료를 하지 말자고요? 안됩니다. 우리 아버지 항암치료 꼭 해주세요. 이대로 돌아가시게 내버려 둘 수는 없어요.”

“남은 기대여명이 6개월 정도 돼요. 항암치료를 하면 4~5개월 더 연장할 수 있지만 무척 힘들어서 견디기 힘들어요. 무엇보다 환자분 본인이 원하지 않으시고요.”

“그래도 항암치료를 해주시면 안 될까요? 우리 아버지, 오래오래 사셔야 합니다.”

아들과 나의 실랑이가 길어지자 환자 본인이 한마디 했다. “내 나이가 이제 팔십둘이예요. 이 정도면 살 만큼 산 거에요. 때 되면 가야 하는데 이제 때가 된 거예요. 나는 이 정도면 만족해요. 내 친구도 항암치료 받다가 고생만 하다 그냥 가버렸어요. 항암치료 안 할래요.”

이쯤 되면 환자 뜻을 따르는 게 맞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아들을 설득해야 하나 고민하다가 아들에게 다른 질문을 했다. “평소 아버지를 얼마나 자주 찾아뵙나요?” 의외의 질문에 아들은 멋쩍어하며 잠시 쭈뼛거리다가 대답했다. “명절에 찾아뵙고 그 외엔 1년에 두세 번 정도 더 찾아뵙습니다.” 따져보니 많아야 1년에 너댓 번 찾아뵙는 셈이었다. 그 말을 듣고 나는 항암치료 처방이 아닌 다른 처방을 냈다.

내가 내린 건 매주 주말 고향에 내려가 아버지를 만나라는 처방이었다. 항암치료를 해서 삶을 1년 더 연장한다고 하면 1년에 5번 볼 아버지를 2년에 10번 보는 거다. 그런데 매주 주말 아버지를 뵈면 항암치료를 하지 않고도 스무 번 넘게 볼 수 있었다. 항암치료 없이도 함께 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어디 있겠는가. 오래 사시며 시간을 늘리기를 원한 아들에게도, 항암치료를 원하지 않은 아버지에게도 모두 윈윈이 되는 처방이라 생각하며 나 혼자 뿌듯했다.

하지만 아들에게서 돌아온 대답은 뜻 밖이었다. “그건 좀 어렵겠는데요. 제가 회사 일이 바빠서…. 매주 고향에 내려가는 것은 어렵습니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아버지가 오래 사셔야 효도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항변했던 바로 그 아들이었다. 그런데 바빠서 매주 고향에 내려가긴 어렵다고 했다. 그 말을 듣고 뭐라 대답해야 할지 난감했다.

이탈리아 작가 폼페오 바토니의 '탕아의 귀환'(1773)의 한 부분.

이탈리아 작가 폼페오 바토니의 '탕아의 귀환'(1773)의 한 부분.

자식들은 바쁘다. 어찌 된 노릇인지 죄다 바쁘다. 자식치고 안 바쁜 자식을 보지 못했다. 바빠도 보통 바쁜 게 아니다. 회사도 다녀야 하고 야근도 해야 하고 돈도 벌어야 하고 아이도 키워야 하고…, 자식들은 너무나 바쁘다. 맞다. 요즘처럼 먹고 살기 힘든 세상에서는 그렇게라도 바쁘게 살아야 근근이 먹고 살 수 있다. 자식들도 사실 살기 힘들다.

그런데 문제는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부모의 시간과 자식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그것도 많이 다르게 흘러간다. 나의 시간으로는 부모님은 아직 돌아가실 때가 안되었는데, 부모의 시간으로는 이미 때가 되었다.

나이든 부모는 이미 기다림을 많이 써서 그렇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하루 24시간 같지만 누구에게나 다르게 흘러간다. 자식에게는 고향 내려가는 길이 3시간 같아도 노부모에게는 3일로 느껴진다. 주말에 자식들이 내려온다고 하면 3일 전부터 좋아하는 음식을 준비하지 않던가. 나에게는 고작 3시간이 지났지만 부모님은 3일만큼 늙어버렸다. 그래서 부모의 시간과 자식의 시간은 세월의 흐름만큼이나 벌어진다. 60대 같았던 부모님은 이미 80대가 넘었다.

그 와중에 바쁨은 시간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우선순위의 문제가 된다. 부모에게 자식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던 적이 없건만 자식에게 부모는 살아온 세월의 흔적만큼 우선순위에서 멀어진다. 물론 정말 어쩔 수 없는 바쁨이 있다. 다른 피치 못한 중요한 일이 많을 수 있다. 그래서 노부모에게 양해를 구하고 죄송하다고 하면 대부분의 부모는 이해해준다. 오히려 바쁜데 뭐하러 오냐고 대답한다. 사실 바쁜데 명절 때 오지 말라는 이야기는 정말 오지 말라는 이야기가 아니었는데 말이다.

잘해드린 건 없는데 자꾸 늙어만 가는 모습을 보면 자식들도 괴롭다. 자식들은 효도도 하고 싶고 바쁜 일을 포기하기도 싫고 모든 것을 다 움켜쥐고 싶다. 효도는 머릿속으로만 맴돌고, 현실은 처리해야 하는 바쁜 일로 골치 아프다. 자식들도 괴로울 것이다. 그래서일까. 어떤 때 내 귀에는 바쁘다는 이야기가 "자식들이 바쁘니 당신은 더 늙지도 말고 아프지도 마시고 지금처럼만 계시라"는 야박한 이야기로 들린다. 이 글을 읽는 지금 이 순간만이라도 이런 야박한 생각은 접고, 부모님의 시간에 맞춰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