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퍼즐] 인테리어 디자이너 양태오의 한옥…청송재와 능소헌

중앙일보

입력

[퍼즐] 박나니의 한옥 이야기(8)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회색빛 바다와도 같은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콘크리트 아파트 단지에서 자라난 젊은 세대가 이런 주거 방식에 싫증을 느낀 나머지 훨씬 더 개방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지닌 우리의 전통 한옥에 시선을 돌리게 된 것이다. 전통적이라고는 하나 요즘 한옥은 한옥의 외관은 유지하되 내부는 현대적인 생활방식에 맞춰 변한 한옥이 많다. 한옥 이야기는 지난 2019년 발간된 책『한옥』에서 다루고 있는 한옥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청송재와 능소헌

마당의 빛과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청송재의 거실(대청마루). 이 집의 다양한 모임 공간 중의 하나이다. 현대식 가구들이 전통 한옥 스타일의 대들보, 서까래, 문, 창문, 마룻바닥 등과 멋진 조화를 이룬다. [사진 이종근]

마당의 빛과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청송재의 거실(대청마루). 이 집의 다양한 모임 공간 중의 하나이다. 현대식 가구들이 전통 한옥 스타일의 대들보, 서까래, 문, 창문, 마룻바닥 등과 멋진 조화를 이룬다. [사진 이종근]

아기자기한 서울 북촌 계동길 인근에 위치한 이 가옥은 한옥들 중 특이하게도 두 번 개조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이 집은 본디 1910년대에 지어진 보급형 생활한옥인데, 처음으로 개조가 이루어진 1997년에는 윗집 사랑채 능소헌과 아랫집 안채 청송재를 이어붙여 공간 면적을 넓혔다. 윗집과 아랫집 모두 미음(ㅁ)자로 되어 있는데, 윗집 능소헌은 완전한 미음자 형태인 아랫집과 달리 오른쪽 상단이 뚫려 있어 다른 구조를 보인다.

이우환의 단색화 작품이 걸려 있는 다실. 여름에 더욱 빛을 발하는 공간이다. [사진 이종근]

이우환의 단색화 작품이 걸려 있는 다실. 여름에 더욱 빛을 발하는 공간이다. [사진 이종근]

현 집주인인 인테리어 디자이너 양태오 소장은 2012년에 이어붙인 능소헌과 청송재를 자신의 취향에 맞춰 다시 개조했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와 서양 문화 모두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감수성을 보여주는 건축물이 탄생했다. 사랑채에 위치한 다이닝룸에는 서까래와 대들보가 현대적인 천장 및 덴마크풍 미니멀리즘 양식의 가구와 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거실도 한옥 특유의 전통적인 분위기와 최신식 벽난로가 어우러져 한옥의 전통적인 풍류와 현대적이고 세련된 멋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사랑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와인룸. 와인 컬렉션과 함께 가야시대의 도기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 이종근]

사랑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와인룸. 와인 컬렉션과 함께 가야시대의 도기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 이종근]

윗집 사랑채 능소헌은 사무실 겸 주거 공간으로 쓰인다. 사무실은 한때 대청마루였던 곳에 자리를 잡아 자연 광선을 듬뿍 받고, 위아래로 마당이 보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남쪽으로 보이는 마당에는 넓게 포석이 깔렸으며, 소나무 몇 그루와 그것을 둘러싼 이끼 정원이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이 손님방에서 현대성은 다시 한 번 전통과 조우한다. 방 전체의 창의적인 색상 조합과 단순하고 아름다운 침대 머리판 및 침구류는 천장의 부드러운 곡선과 더불어 한국 전통 서예화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 이종근]

이 손님방에서 현대성은 다시 한 번 전통과 조우한다. 방 전체의 창의적인 색상 조합과 단순하고 아름다운 침대 머리판 및 침구류는 천장의 부드러운 곡선과 더불어 한국 전통 서예화를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진 이종근]

양태오 소장은 어린 시절 주말에 그의 어머니와 함께 인사동에 자주 들르곤 했는데, 그 덕에 디자인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 이후 그가 인사동을 드나들며 수집한 물건들을 집안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가 유달리 아끼고 영감의 원천으로 여기는 해태 토우는 이사를 하면서 능소헌 기와지붕 위에 얹혀졌다.

위채의 고즈넉한 천장 아래에 위치한 이 멋진 공간은 이전에는 한옥에서 메인 홀 역할을 하는 대청마루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가내 사무실 느낌으로 꾸며져 있다. 이 공간은 유리 칸막이를 활용해 집주인의 개인적인 업무공간으로 쓰이기도 하고, 업무상 만남이나 동료들과의 회의를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다소 밋밋할 수 있는 창호 창문과 흰색 벽은 유리 선반 위에 놓인 테오 양(Teo Yang) 디자이너의 태국 제작 청자와 백자 그리고 다양한 장식품들로 인해 톡톡 튀는 매력을 뿜어낸다. [사진 이종근]

위채의 고즈넉한 천장 아래에 위치한 이 멋진 공간은 이전에는 한옥에서 메인 홀 역할을 하는 대청마루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가내 사무실 느낌으로 꾸며져 있다. 이 공간은 유리 칸막이를 활용해 집주인의 개인적인 업무공간으로 쓰이기도 하고, 업무상 만남이나 동료들과의 회의를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다소 밋밋할 수 있는 창호 창문과 흰색 벽은 유리 선반 위에 놓인 테오 양(Teo Yang) 디자이너의 태국 제작 청자와 백자 그리고 다양한 장식품들로 인해 톡톡 튀는 매력을 뿜어낸다. [사진 이종근]

양태오 소장의 부모님이 상주하는 안채 청송재는 사랑채 능소헌과 좁은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청송재의 안뜰에서는 1997년 첫 리모델링 당시 설치된 격자무늬 창문들이 우아함을 뽐내며, 능소헌과 마찬가지로 기품 있는 소나무와 이끼 정원이 어우러져 있다. 2012년 두 번째 리모델링할 때 양태오 소장은 청송재와 능소헌의 본 모습을 간직하고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감각도 함께 담아내기를 원했고 그를 위해 각고의 노력과 시간을 투자했다. 이처럼 여러 차례의 리모델링을 통해 완성된 각기 다른 두 건축물의 쓰임새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이 한옥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빈티지 로즈우드 식탁으로 완성되는 고풍스러운 다이닝룸은 실용적인 카라라 대리석 바닥재로 마감되었다. 거울이 달린 수납공간 위 나무 장식 안에는 에어컨이 우아하게 숨겨져 있다. 간이 테이블 위에 놓인 식기와 램프 역시 테오 양(Teo Yang)이 디자인한 예술품들이다. [사진 이종근]

빈티지 로즈우드 식탁으로 완성되는 고풍스러운 다이닝룸은 실용적인 카라라 대리석 바닥재로 마감되었다. 거울이 달린 수납공간 위 나무 장식 안에는 에어컨이 우아하게 숨겨져 있다. 간이 테이블 위에 놓인 식기와 램프 역시 테오 양(Teo Yang)이 디자인한 예술품들이다. [사진 이종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