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해양대 취업률 경상권 1위, 충남대 교수 교외연구비 1억4185만원[2022 대학평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역대학 분석 

“지역에 일자리가 없다? 같이 만들면 되죠.”
부산의 한국해양대는 2020년 취업률이 65.8%로 경상권 대학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상위권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취업 한파가 거셌지만 한국해양대는 지역 기업과 협업으로 답을 찾았다.

지난 10월 한국해양대에서 마련한 부산 공공기관 취업 대비 면접 연습에 참여한 학생들이 모의 면접관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 한국해양대

지난 10월 한국해양대에서 마련한 부산 공공기관 취업 대비 면접 연습에 참여한 학생들이 모의 면접관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 한국해양대

지난 6월 한국해양대는 부산·김해에 거점을 두고 있는 넥스트엔지니어링사와 해양 플랜트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맺었다. 학교는 회사에서 필요한 맞춤 인력을 양성하고, 회사는 우수 학생을 채용하기로 했다. 한국해양대 학생성장지원실 관계자는 "예전보다 취업률이 하락하면서 취업 관리팀을 강화하고 기업 맞춤형 교육도 더 많이 만들었다"며 "대학 특성을 더 살려 70% 이상 취업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했다.

전남대, 저학년부터 취업 상담

지역 대학이 위기에 처해있지만 여전히 지역사회에서 대학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수도권에 자원이 밀집되는 가운데에서도 지역의 구심점이 되는 대학들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학평가팀은 52개 평가대상 중 23개 비수도권 대학의 교육,연구 성과를 권역별로 분석했다.

전라·제주권에서는 전남대의 순수취업률이 가장 높다. 이 대학은 취업의 질을 엿볼 수 있는 유지취업률(취업 후 1년간 취업상태 유지 비율)도 상위권이다. 저학년부터 다양한 진로검사와 취업 상담을 해주는 학내 프로그램이 활성화돼있다. 진로를 일찍 탐색할 수 있어 취업률과 직업 만족도도 높다.

강원대, 기업맞춤 기술이전 성과

교수가 기업이나 정부에서 받은 교외연구비 실적은 대학의 연구역량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다. 부경대는 교원 1인당 교외연구비가 1억476만원으로 경상권 대학 평균(6406만원)은 물론 경기·인천권 대학 평균(8469만원)보다 많았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정부·지자체 연구비를 수주한 결과라는 게 부경대의 설명이다. 대학 연구력 향상을 위해 ‘우수논문 게재료’ ‘신임교원 학술연구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도 확대했다.

충청·강원권에선 충남대의 전임교원 1인당 교외연구비가 1억4185만원으로 가장 높다. 서울권 대학 평균(1억6164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동물의과학연구소, 나노공학연구소 등 특화된 교내 연구소를 중심으로 굵직한 연구 사업을 수주한 결과다. 우수한 연구 인력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학부 전체 과정과 석·박사, 유학까지 지원하는 장학금도 도입할 예정이다.

강원대는 충청·강원권 대학 중 기술이전 건당 수입액이 많다. 기술이전의 ‘기업 맞춤형’ 전략이 유효했기 때문이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수요 분석부터 개발 단계까지 맞춤으로 지원한 덕에 사용되지 않는 기술을 만들 필요가 없었다.

'상위 10% 논문 저자' 절반이 28개 서울 대학 소속  

문제는 우수한 성과를 내는 지역대학이 드물다는 점이다. 한 지역대학 관계자는 "자세히 살펴보면 우수한 부분도 있지만 일부 대학, 일부 지표에 국한된다"고 말했다. 취업난과 경쟁력 약화 등으로 학생이 지역을 떠나고 우수한 학생이 떠난 학교 경쟁력이 더 악화된다는 지적이다.

대학평가팀이 학생 수 3000명 이상 국내 대학 132곳의 교육과 연구, 재정 등을 분석해보니 서울과 지방의 격차는 확연했다. 입시 경쟁률이나 신입생 충원율뿐 아니라 대학의 성과와 투입 자원도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큰 차이는 교수연구 실적에서 나타난다. 2017~2020년 발행된 논문 중 피인용 수가 세계 상위 10% 안에 드는 ‘양질의 논문’ 저자 중 절반 이상(51.4%)이 서울의 28개 대학 소속이다. 질 높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서울에 몰려있다는 의미다. 지역의 한 대학 교수는 “연구는 교수 혼자 할 수 없고 연구원이 있어야 하는데, 서울의 주요 대학을 제외하곤 연구원을 충원할 수가 없다”며 “지방대는 연구원을 뽑을 돈도, 유인할 동력도 없다”고 했다.

정부의 재정 지원 역시 수도권대에 집중돼 있다. 정부가 2020년 대학에 지원한 돈은 서울·경기·인천 대학에 3조9650억원으로 비수도권 총합(3조6391억원)보다 많다. 반면 학생 수는 수도권이 70만5300여명으로 비수도권(약 86만2000명)보다 15만명 이상 적다.

김희규 신라대 교수는 “취업률, 학생충원, 연구실적 등 정부의 재정지원 평가 지표로는 지방대가 수도권대와 경쟁해 이길 수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재정지원의 절반 가량은 각 지역 거점국립대의 몫이다. 그 외 지방대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는 의미다.

거점국립대 경쟁력 "서울 중하위 대학 수준"

10년 전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평판도 조사 결과와 올해를 비교해보면 지역의 대표격인 거점국립대의 하락세를 확인할 수 있다. 2012년 경북대 평판도 순위는 12위였지만 올해 순위는 15위로 하락했고 충북대는 25위에서 29위, 전남대는 23위에서 25위, 강원대는 32위에서 37위가 됐다.

올해 대학평가팀이 교사 및 학부모 등 18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지역거점국립대의 경쟁력이 서울권 대학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가’란 질문에 응답자 10명 중 8명(77.3%)이 ‘서울 중위권 대학 이하’라고 답했다. 입시 전문가들의 진단도 비슷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근엔 서울 중위권 대학에 갈 수 있는 학생이 지방거점국립대로 진학하는 비율이 0%에 가깝다”고 했다.

"지방대도 대학 울타리 넘어 지역과 더 협력해야"  

위기를 느낀 대학들도 돌파구를 찾고 있다. 지난 3월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는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확대, 국공립대 무상 등록금제 시행 등 이탈하는 학생을 막기 위한 혁신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방대 자체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는 “지방대, 특히 국립대가 실제로 ‘거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지도 스스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지방대학이 대학울타리를 넘어 지역사회와 더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