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에너지 위기가 수소 시계 앞당겼다”…미국·일본도 잰걸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유가 변동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불확실성이 가중하면서 수소 경제를 향한 기업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수소 경제를 선점하려는 세계 각국의 행보가 더욱 치열해지는 중이다. 특히 미국의 발걸음이 빨라지면서 기존 강국이던 일본·독일 등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정부가 전날 발표한 ‘3대 수소 경제 성장전략’도 이 같은 움직임에 보조를 맞춘 것이란 게 시장의 분석이다. 미래 에너지로서 수소에 더해,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등 글로벌 이슈가 반영됐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에너지 위기가 ‘수소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에서 수소 경제 지원책을 대거 포함했다. 법안에는 ‘그린수소’(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 해 만든 수소) 1㎏을 생산하면 3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미국은 203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현재 ㎏당 6달러에서 1달러까지 낮출 계획이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독일은 수소 기술 투자·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30년까지 수소 경제 전환에 90억 유로(약 12조4000억원)를 쏟아붓기로 했다.

일본은 호주와 협력해 액화수소 해상 수송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일본은 2050년까지 수소 연료전지와 수전해(물 전기분해) 기술 등을 통해 수소 중심의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승훈 H2코리아 산업본부장은 “이미 중국이 한국의 충전 인프라를 넘어섰고, 유럽·일본 중심이던 수소 경제 경쟁이 미국·캐나다 등 북미와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남미·중동까지 확대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화석연료처럼 수소의 국제거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도 현재 60%인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100%로 끌어올리고 수소 운송·저장 기술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기업의 움직임은 더 앞서 있다. 현대차그룹은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4년쯤 승용 수소전기차 넥쏘의 2세대를 출시한다. SK그룹은 액화수소 생산 플랜트와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료전지 발전 사업에도 투자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청정 암모니아 수급에 투자하고 있고, 포스코는 석탄 대신 수소로 철강을 만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 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