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6.4%…美·英·日보다 크게 낮아"

중앙일보

입력

지난 2일 부산 진구 대한적십자사부산지사 9층 안전교육센터에서 열린 심폐소생술 상설교실에 참가한 시민들이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배우고 있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평소보다 30% 정도 참가자들이 늘어났다고 전했다. 송봉근 기자

지난 2일 부산 진구 대한적십자사부산지사 9층 안전교육센터에서 열린 심폐소생술 상설교실에 참가한 시민들이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배우고 있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평소보다 30% 정도 참가자들이 늘어났다고 전했다. 송봉근 기자

이태원 참사 이후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시행률이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16.8%(2016년), 21.0%(2017년), 23.5%(2018년), 24.7%(2019년), 26.4%(2020년)로 나타났다.

이런 비율은 영국 70.0%, 미국 40.2%(이상 2020년)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본의 경우 2013~2015년 50.2%로 2020년 기준 한국의 2배에 가까웠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병원 도착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비율을 뜻한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시도간 편차도 큰 편이었다. 2020년 서울이 40.7%, 대구는 35.1%였지만, 광주와 경북은 각각 12.8%, 15.5%에 그쳤다.

정부는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교육을 받은 사람의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크게 줄었다. 2017년 66만5000명, 2018년 69만4000명, 2019년 67만3000명이었던 것이 2020년 14만8000명, 2021년 18만6000명으로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복지부의 2023년 예산안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은 올해(18억원)보다 8.3% 감액된 16억5000만원으로 편성됐다.

남 의원은 "현재의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자동 심장충격기(AED) 보급도 확대해야 한다"며 "10.29 참사를 계기로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