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DI “수출 중심 성장세 약화…경기둔화 지표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한국 경제가 회복 국면에서 둔화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국책연구원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발표한 ‘11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여건 악화에 따라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약화하는 모습”이라며 “향후 경기가 둔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점차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경제동향에서 ‘경기 회복세 완만’에서 ‘경기 회복세 약화’로 진단이 부정적으로 돌아선 데 이어 이달에는 ‘성장세 약화’로 경기 진단이 더 어두워졌다.

실제 수출은 지난달에 전년 동월 대비 5.7% 줄어 2020년 10월(-3.9%) 이후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17.4% 급감해 3개월 연속 줄었다.

KDI는 향후 경기 국면을 예측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행지수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주요국 제조업 심리가 약해진 점 등을 들어 세계 경기가 둔화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했다.

제조업 생산은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의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은 전월보다 4.5% 감소해 7월(-3.5%)과 8월(-12.8%)에 이어 석 달 연속 줄었다. 태풍 힌남노 등의 영향으로 1차 금속 생산은 15.7% 급감했다.

제조업 생산은 1.8% 줄면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재고율(출하 대비 재고 비율)은 123.4%로 전월(122.9%)보다 상승해 제조업 부진의 지속을 시사했다.

비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계절조정 기준)는 지난달 81에서 이달 77로 내려갔다. BSI는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KDI는 제조업에 이은 비제조업의 기업 심리 하락이 향후 경기 둔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물가는 5%대 상승률을 지속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 상승 폭이 줄었으나, 전기·가스·수도 가격 인상분이 반영되며 5.7% 상승해 석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다만 고용은 호조세를 이어갔다. 9월 취업자 수는 비대면 서비스업 둔화로 1년 전보다 70만7000명 늘어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지만, 숙박 및 음식점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 등 대면서비스업 회복세가 강화됐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