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태원 참사' 인근 마약단속 52명 경찰 있었다…검거는 0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난달 29일 사고 현장 인근에 형사·강력 등 경찰 52명이 배치돼 있었던 사실이 경찰 문건을 통해 공식 확인됐다. 이들은 마약 사범 단속을 위해 사고 현장에 있었는데, 이날 단속실적은 전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혼잡·재난 등의 상황 경비를 전문으로 맡는 경찰기동대 투입 지시는 사고 발생 1시간 2분 뒤인 오후 11시17분에서야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0일 새벽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한 지역을 수습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지난달 30일 새벽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에서 경찰과 소방대원들이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한 지역을 수습하고 있는 모습. 뉴스1

경찰이 더불어민주당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마약수사대와 서울 용산·동작·강북·광진서 소속 형사·강력팀 소속 형사 52명은 10개 팀으로 나뉘어 지난달 29일 이태원 일대에 배치됐다. 이들은 오후 8시 48분부터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곳에서 가까운 이태원파출소 인근이나 이태원로·세계음식문화거리 등에 투입됐다. 이태원 일대 클럽에서의 마약류 범죄 점검·단속 및 순찰 활동이 주된 임무였다.

이들이 배치돼 있던 곳과 가까운 해밀톤 호텔 옆 골목은 이미 오후 6시30분부터 112 구조신고가 빗발칠 정도로 아수라장이었고 결국 10시15분 압사 사태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현장에 배치된 형사들이 현장 통제나 구조에 나선 기록은 전혀 없었다.

합동단속반 중 용산경찰서 강력팀이 단속 활동 전 이태원파출소에서 대기하다가 오후 10시 37분쯤 현장의 지원 요청을 받고 출동한 것이 첫 구조 활동인 것으로 기록됐다. 이태원파출소와 사고 현장은 길 건너편 약 100m 떨어진 도보 3분 거리다. 강력6팀이 현장의 위급한 상황을 확인해 보고한 시간은 출동 7분 뒤인 오후 10시 44분이었고, 4분 뒤인 10시 48분께 다른 곳에 있던 인원까지 포함한 전면 재배치가 전면 이뤄졌으며 오후 10시 50분쯤부터 이들의 구조 활동 및 인파 분산 유도, 구조로(路) 확보 등의 조처가 진행됐다.

그 이전까지는 오후 9시 33분쯤 용산서 형사과장이 인파가 몰리는 지점으로 형사 기동차량을 보내 인파 분산을 유도한 것이 사실상 활동의 전부였다. 정작 사고 당일 임무라던 마약류 범죄 단속·검거는 ‘0건’으로 취합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추모공간에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1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추모공간에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1

경찰기동대 투입 지시는 사고 당일 오후 11시 17분쯤에야 처음 이뤄졌다. 당시 경찰 배치 운용 현황을 보면 용산 거점 근무를 하고 있던 11경찰기동대가 이 시간에 지시를 받고, 현장엔 오후 11시 40분에 도착했다. 그 뒤를 이어 종로 거점 근무 77경찰기동대가 오후 11시50분, 여의도 거점 근무 67경찰기동대가 사고 다음 날인 30일 오전 0시 10분쯤에 잇따라 현장에 왔다. 두 경찰기동대가 투입 지시를 받은 건 각각 오후 11시 33분·11시 50분이었다. 이들 포함 경찰기동대 총 5곳과 의무경찰부대 8곳이 긴급 투입됐지만, 모두 참사 발생이 공식화된 시점(오후 10시 15분)을 이미 훌쩍 넘긴 시점에 출동 지시를 받았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위급한 상황이 당장 눈앞에 발생한다면 그 현장에 있던 경찰이 바로 대응에 나서는 게 맞다”며 “상황이 얼마나 위중한지 곧바로 전파가 돼 지시·대응이 보다 더 신속하게 이뤄졌다면 사고 규모가 이렇게까지 커지지는 않았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수본 규모 커져…불법 건축물·보고서 삭제 의혹 등 수사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6일 박찬우 경찰청 범죄정보과장(총경)과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 1개 팀(6명)을 지원받고, 김동욱 서울 노원경찰서장(총경)이 대변인으로 임명하는 등 총 13명을 증원해 규모를 514명으로 키웠다. 늑장 대처 의혹을 받는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당일 상황관리관 류미진 서울청 인사교육과장, 본지 보도로 알려진 사고 현장 인근 해밀턴호텔의 불법 건축물 등이 수사 대상이다. 특수본 관계자는 “제기된 의혹 모두 확인하기 위해 수사팀 규모도 커지게 됐다”고 전했다.

특히 특수본은 용산경찰서 내부에서 지난달 초 ‘핼러윈 기간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보고서가 작성됐다가 참사 이후 삭제된 정황도 수사 선상에 올렸다. 용산경찰서 정보외사과 소속 직원이 작성한 해당 보고서엔 핼러윈 기간 대규모 인파가 몰려 안전사고 위험성이 있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고, 서울경찰청 등 상부엔 전달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과장·계장 등 상급자의 지시와 회유로 참사가 발생한 지난달 29일 이후 이 보고서가 삭제됐다는 게 의혹의 골자다. 특수본은 지난 2일 용산경찰서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정황을 파악하고, 증거인멸 혐의가 있는지 수사할 방침이다.

의혹에 연루된 용산경찰서 관계자는 6일 중앙일보에 “보고서 작성 직원에게 그런 (회유) 발언을 한 적이 없다”며 “조사 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은 민주당의 해당 자료 요구에 대해 “경찰관의 정보수집 및 처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지체 없이 폐기해 보관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해당 규정은 수집·작성한 정보가 그 목적이 달성돼 불필요하게 되면 폐기해야 한다고 했다.

6일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마포청사에 '이태원 사고 특별수사본부' 현판이 설치돼 있다. 뉴스1

6일 서울 마포구 서울경찰청 마포청사에 '이태원 사고 특별수사본부' 현판이 설치돼 있다. 뉴스1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