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AI가 영상 만들고, 산불 예측도 한다…구글의 ‘소셜굿 AI’

중앙일보

입력

세계 최대 테크 기업 중 하나인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AI(인공지능)를 비롯한 R&D(연구ㆍ개발)에 2021년 315억달러(약 45조원)를 투자했다. 아낌 없는 투자의 결과, 2015년 이세돌을 이긴 AI 알파고를 시작으로 지난해 5월 사람처럼 대화가 가능한 AI ‘람다’(LaMDA)를 선보였다. 이런 구글이 강조하는 AI 연구·개발 핵심 준칙은 세 가지다. 공익, 창의성, 언어 접근성. 2일 열린 구글의 AI 컨퍼런스에서 이 3대 준칙 하에 구글이 개발 중인 주요 서비스들이 공개됐다.

무슨 일이야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구글 오피스에서 AI 연례 컨퍼런스 컨퍼런스 ‘AI@:불가능을 탐험하다(Exploring the (im)possible)’가 열렸다. 주제는 공익(Social good), 창의성(Creativity), 언어 접근성(Language Access)을 위한 AI. 구글은 컨퍼런스에 앞서 지난달 28일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자들에게 주요 발표 내용을 소개하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더글라스 에크 구글 AI 리서치 수석과학자, 요한 살루이크 구글 AI 리서치 펠로우 등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창작하는 AI

최근 AI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키워드는 ‘생성(Generative) AI’다. 이용자가 키워드나 문장을 입력하면 AI가 이를 해석해서 적절한 이미지, 영상을 만들어주는 AI를 말한다. 단순히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하는 수준이 아니라, AI가 창의성을 발휘해 새로운 결과물을 창조하는 수준에 이른 것.
에크 박사는 생성 AI에 대해 “구글 브레인팀에선 지난 몇 달 간 엄청난 진전을 이뤄냈다”며 “AI가 얼마나 창의적인 기관 역할을 할 수 있는지, AI가 새로운 형태의 결과물을 얼마나 다양하게 만들어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구글이 지난달 처음 공개한 '페나키'는 영상을 알아서 제작하는 AI다. 시나리오 형태의 글자, 문장을 입력하면 내용에 부합하는 영상을 알아서 만들어 주는 것. 사진은 '곰돌이가 샌프란시스코 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있다. 곰돌이가 물 속으로 들어간다. 다양한 색의 물고기들 사이에서 헤엄친다. 팬더도 물속에서 수영한다.'라는 문장을 입력했을 때 페나키가 생성한 영상 스크린샷이다.

구글이 지난달 처음 공개한 '페나키'는 영상을 알아서 제작하는 AI다. 시나리오 형태의 글자, 문장을 입력하면 내용에 부합하는 영상을 알아서 만들어 주는 것. 사진은 '곰돌이가 샌프란시스코 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있다. 곰돌이가 물 속으로 들어간다. 다양한 색의 물고기들 사이에서 헤엄친다. 팬더도 물속에서 수영한다.'라는 문장을 입력했을 때 페나키가 생성한 영상 스크린샷이다.

◦ AI가 만드는 고화질 영상: 구글이 지난달 공개한 AI 시스템 ‘이마젠(Imagen) 비디오’와 ‘페나키(Phenaki)’는 글자를 동영상으로 만들 수 있는 TTV(Text-to-Video) 모델이다. 이마젠 비디오는 고화질 영상에, 페나키는 2분 안팎의 상대적으로긴 영상 제작에 강하다. 페나키에 “곰돌이가 샌프란시스코 바다에서 수영을 한다. 곰돌이가 여러 색깔 물고기들과 수면 아래에서 수영을 한다”와 같은 문장을 입력하면 페나키가 이 내용과 똑같은 영상을 제작한다. AI@에서는 이마젠과 페나키 모델을 연구하는 두 연구팀이 협업해 제작한 고화질 영상이 공개됐다.

◦ 작가들 돕는 람다: 구글의 AI 람다의 강점은 뛰어난 언어 처리 능력. 람다에게 질문을 하면 맥락에 맞는 답을 한다. 에크 박사는 “구글은 람다 기술을 글쓰기에 어떻게 활용할지 연구 중”이라며 “작가들이 작품을 구상하다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어떻게 AI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 여러 방안을 연구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홍수·산불 예방 AI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구글이 공익을 위해 개발했다고 소개하는 AI 기술들이 소개됐다. 기술·문명에서 소외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 위험 지역에 홍수 예보 ‘푸시’: 구글은 지난달 홍수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홍수 허브’ 홈페이지를 공개했다. 2017년부터 홍수 예보 시스템을 구축한 구글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홍수가 나면 물이 흘러갈 방향을 예측하고 인근 주민들에게 경고 알림을 보낸다. 홍수 예보 시스템을 총괄하는 셀라 네보 구글 리서치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지난해에만 인도·방글라데시 주민 2300만명에게 총 1억1500만회 알림을 보냈다”며 “이 주민들은 구글 검색 엔진과 구글 맵에서 홍수 경보와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고 설명했다. 구글 측은 홍수 알림을 통해 인명 및 경제적 피해를 기존 대비 3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구글 홍수 허브(Google Flood Hub)'에서는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과 물높이 변화를 예측해준다. [구글]

'구글 홍수 허브(Google Flood Hub)'에서는 홍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지역과 물높이 변화를 예측해준다. [구글]

◦ 산불 화재 경로 추적: 산불 화재 경로를 미리 파악하기도 한다. 위성 사진을 토대로 산불이 어디로 진화하는지 예측하는 것. 기존 호주 지역에서만 제공하던 이 서비스는 최근 미국, 캐나다, 멕시코 전역으로 확대됐다.

이게 왜 중요해

구글이 AI 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AI를 기반으로 어떤 서비스를 만드는지는 기술 기업과 AI 연구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다. 특히 AI 기술·서비스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선 구글과 다른 빅테크 기업들이 경쟁하듯 기술을 선보이는 중.
① AI의 창조력 경쟁: 지난 9월 메타도 영상을 자동으로 만드는 AI ‘메이크 어 비디오(make-a-video)’를 공개했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동영상을 만들어내 구글의 이마젠 비디오·페나키와 비슷하다. 영국에 본사를 둔 AI 스타트업 스테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 미국의 오픈AI가 공개한 ‘달리’도 유사한 서비스로 화제를 모았다.

②정말 ‘소셜굿’ AI일까: 구글은 이날 “구글의 AI는 전세계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6월 구글의 엔지니어는 람다에 대해 “인간과 비슷한 지각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당시 구글은 부인했지만, 논란이 커진 데는 인간이 기술에 종속될 수 있다는 위험과 공포가 커졌기 때문이다. 구글의 더글라스 에크 과학자는 논란을 의식하듯 람다에 대해서도 “기술이 사람, 지역 사회와 협력할 수 있게 신중을 기하고 있다”며 이날 람다가 혼자가 아닌 기성 작가들과 협업해 만든 문학 작품을 공개했다.

팩플배너

팩플배너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