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사 관음상 앞 공양물…쌀 봉지에 쓰인 슬픈 한마디

  • 카드 발행 일시2022.11.02

길상사는 서울 성북동에 있다. 성(城)의 북(北)쪽에 있는 동네다. 성은 한양도성을 말한다. 서울 미래유산이 된 길상사는 본래 대원각이라는 최고급 요정이었다. 1995년 소유주 김영한이 법정 스님에게 시주하며 화제가 됐다. 세간에 널리 퍼진 얘기는 이렇다.

일제강점기이던 1930년대 시인 백석은 기생 김영한과 사랑에 빠졌다. 그가 붙여준 이름이 자야(子夜)다. 백석은 김소월, 이중섭, 황순원을 낳은 평북 정주 오산학교 출신이다. 하지만 집안 어른들의 뜻으로 백석은 원하지 않는 결혼을 한다. 둘은 다시 만나 짧은 동거를 한다. 백석은 함께 만주로 가자고 하지만 자야는 서울로 향한다. 이때 남긴 시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다.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고 둘은 영영 만나지 못하게 됐다. 김영한은 한국전쟁기에 임시수도 부산에서 정치 거물들이 드나드는 요정을 운영한다. 그 뒤 성북동에서 청암장이라는 요정을 연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대원각’으로 이름을 바꿨다. 대원각은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북한산 아래 3대 요정으로 불렸다.

요정은 일제강점기 이래 정치의 은밀한 무대였다. 1947년에 서울에만 3000여 개가 넘었단다. 지금도 노년층이 즐겨 듣는 한복남의 노래 ‘빈대떡 신사’는 ‘양복 입은 신사가 요릿집 문 앞에서 매를 맞는데~’로 시작한다. 여기 나오는 요릿집이 요정이다. 한국이 세계 무대에 본격 등장하기 전인 1970~80년대, 요정은 ‘기생관광’을 온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장소이기도 했다.

1973년 국제관광공사(한국관광공사의 전신)는 요정과를 설치해 이를 관리했다. 통금이 있던 시절이었지만 접객원 증명서를 가지고 있으면 무사통과였다.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서울에 요정이 800개가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