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 차이나 박성훈의 차이나 시그널

핵·미사일 부대 3년새 33% 늘렸다…시진핑이 벼르는 타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박성훈 베이징특파원

박성훈 베이징특파원

“인민해방군(PLA)을 세계 일류 군대로 건설하는 것은 건군 100년의 분투 목표를 실현하고 전면적인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전략적 요구다”  

지난 21일 중국 로켓군은 20차 당대회를 맞아 ″국가에 충성하고 미래 강군을 향해 힘차게 전진할 것″을 선언했다. 중국 웨이보 '로켓군' 계정 캡처

지난 21일 중국 로켓군은 20차 당대회를 맞아 ″국가에 충성하고 미래 강군을 향해 힘차게 전진할 것″을 선언했다. 중국 웨이보 '로켓군' 계정 캡처

중국의 군사 시계는 2027년에 맞춰져 있다. 시진핑(習近平) 주석은 지난 16일 20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정치 보고에서 건군 100주년이 되는 2027년까지 세계 일류 군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었다. 이를 위해 시 주석은 “군사훈련과 전쟁 준비를 강화하고 강력한 전략억제체제를 구축하며 새로운 영역의 작전 역량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 억제는 곧 핵무력 증강을 내포한다. 앞으로 5년 안에 군사력 증강에 집중해 미국에 밀리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지난 8월 4일 중국 동부전구사령부가 대만 포위 무력 시위를 벌인 가운데 대만 해역을 향해 발사된 둥펑-15 탄도미사일. 사진 중국 CCTV 군사채널 캡처

지난 8월 4일 중국 동부전구사령부가 대만 포위 무력 시위를 벌인 가운데 대만 해역을 향해 발사된 둥펑-15 탄도미사일. 사진 중국 CCTV 군사채널 캡처

미국은 이런 중국을 “국가 안보의 최대 위협”으로 규정했다. 미 국방부는 27일(현지시간) 발표한 국방전략서(NDS)에서 “미국 국가 안보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심각한 도전은 인도ㆍ태평양 지역을 자국 이익과 권위주의에 따라 개조하려는 중국의 강압적이고 공격적인 시도”라고 지적했다. 미ㆍ중간 군비 경쟁의 재현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24일 미 공군대학 중국항공우주연구소(CASI)가 낸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부대(PLARF) 조직 구조’에 대한 보고서가 주목받고 있다. 255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는 중국 로켓군 부대의 배치와 조직 구조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브랜단 멀베이니 연구소장은 “지금까지 공개된 중국 로켓군 부대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보고서”라고 말했다.

지난 24일 미 공군대학 중국항공우주연구소(CASI)가 발표한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부대(PLARF) 조직 구조’ 보고서. 255페이지 분량으로 중국 로켓군 부대의 배치와 조직 구조 등에 대한 세밀한 정보가 담겨 있다. 미 공군대 중국항공우주연구소 홈페이지 캡처

지난 24일 미 공군대학 중국항공우주연구소(CASI)가 발표한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부대(PLARF) 조직 구조’ 보고서. 255페이지 분량으로 중국 로켓군 부대의 배치와 조직 구조 등에 대한 세밀한 정보가 담겨 있다. 미 공군대 중국항공우주연구소 홈페이지 캡처

로켓군은 시 주석 집권 3년 차인 2015년 12월 31일 창설됐다. 1966년 마오쩌둥 주석 시절 제2포병단을 49년 만에 확대 개편했다. 로켓군은 중앙군사위 직속으로 핵미사일과 재래식미사일 운용을 총괄한다. 시 주석은 창설식에서 “전략적 위협에 맞서는 핵심 역량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로켓군 29개서 39개 여단으로

CASI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로켓군 부대는 총 6개의 미사일 기지(61~66기지)로 편제돼 있다. 이들 기지는 대만과 남중국해 등 전략적 요충지를 중심으로 한 중단거리 기지 2곳과 미국 등을 겨냥한 중장거리 핵미사일 기지 4곳으로 구성돼 있다. 각 기지는 최소 6개 이상의 미사일 여단을 보유하고 있다. 보고서는 전체 규모가 39개 여단으로 추정되며 이는 창설 당시 29개 여단에 비해 2017~2020년 3년 사이 최소 10개 여단이 확대된 규모라고 분석했다.

미 공군대학 중국항공우주연구소(CASI)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로켓군은 총 6개 미사일 기지(61~66기지)로 구성돼 있다. 이들 기지는 대만과 남중국해 등 전략적 요충지를 겨냥한 중단거리 미사일 기지 2곳과 장거리핵미사일 기지 4곳으로 나뉜다. CASI 홈페이지 캡처

미 공군대학 중국항공우주연구소(CASI)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로켓군은 총 6개 미사일 기지(61~66기지)로 구성돼 있다. 이들 기지는 대만과 남중국해 등 전략적 요충지를 겨냥한 중단거리 미사일 기지 2곳과 장거리핵미사일 기지 4곳으로 나뉜다. CASI 홈페이지 캡처

대만을 겨냥한 61기지의 경우 중국 안후이(安徽)성 황산(黃山)시를 거점으로 예하 7개 여단이 수백㎞ 간격으로 주변 도시에 흩어져 있다. 사거리 600㎞인 탄도미사일 둥펑(DFㆍ東風)-15를 중심으로 개량형인 둥펑-16,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둥펑-21A가 배치돼 주일미군 주둔지 오키나와까지 넘본다. 보고서는 각 미사일 부대의 위도와 경도까지 구체적으로 공개했는데 지난 8월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시 중국이 무력 시위를 벌인 미사일 부대 위치가 노출된 셈이다. 시 주석이 대만 통일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예하 4여단에 극초음속 미사일(DF-17, 마하 5~10)과 드론 부대(UAV)가 추가된 사실도 확인됐다.

핵미사일 기지에 전력 증강

로켓군 전력 증강은 핵미사일 기지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중국 간쑤(甘肅)성 란저우(蘭州)시에 위치한 64기지는 2017년 이후 미사일 여단이 2배로 늘었다. 무게 42t, 사거리 1만㎞의 대륙간 핵탄도미사일(ICBM) 둥펑-31 여단이 4곳, 2019년 중국 건국 70주년에서 처음 공개된 최대사거리 1만5000㎞, 10개의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는 둥펑-41 미사일 여단도 지난해 이 지역에 추가됐다.

동북부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시에 위치한 65기지, 중부 허난성(河南) 뤄양(洛陽)시 66기지 모두 핵미사일 여단이 5개 이상 증가했다. 65기지 1여단엔 2020년 8월 둥펑-41 미사일이 처음 배치됐는데 코로나 상황으로 실전 운용이 수개월 지체되기도 했다. 보고서는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같은 정황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영국 국제문제전략소(IISS)는 ICBM의 경우 중국의 1개 여단당 6~12기의 발사대를, 중거리탄도미사일(MRBM)은 12~24대의 발사대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탄두는 350기 가량으로 추정된다.

“2030년까지 핵탄두 1000기 확보”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CNS)는 지난해 11월 중국 간쑤성 일대 사막 지대에 약 119개의 핵탄두 미사일을 보관할 수 있는 격납고를 짓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미 국방부는 “중국이 2027년까지 핵탄두 700기를 보유할 수 있고 2030년까지 적어도 1000기를 확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기준 미국이 보유한 핵탄두는 3750기다.

미 해리티지 재단의 딘 청 선임연구원은 “중국 로켓군이 적의 공격이 있을 시 반격하는 ‘최소 억제’ 전략에서 반격 선택권이 주어지는 ‘단순 억제’로 교리를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중국의 핵전력 강화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보고서에서 로켓군 총사령관으로 지목된 리위차오(李玉超)와 쉬중보(徐忠波) 부사령관은 20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