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년 전 찾은 정강이뼈…6·25국군 전사자 故 장기수 일병, 70여년 만에 집으로[포토버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20년 5월 강원도 양양군 가라피리에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이 6·25 당시 3사단 소속으로 참전했던 고(故) 장기수 일병으로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 102기갑여단 장병들이 2020년 5월, 고(故) 장기수 일병의 유해를 발굴하여 약식제례를 지내고 있는 모습. 사진 국방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육군 102기갑여단 장병들이 2020년 5월, 고(故) 장기수 일병의 유해를 발굴하여 약식제례를 지내고 있는 모습. 사진 국방부

경북 안동에서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고인은 1944년 인근 마을에 살던 아내와 결혼,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전쟁이 발발하자 고인은 온 가족과 함께 경북 영천으로 피난길을 떠났다. 피난 중이었던 1950년 8월에 대구 제1훈련소를 통해 입대해 국군 3사단에 배치됐다.

고인은 38선 돌파 작전인 ‘38선-원산 외곽선 진격작전’에서 전사했다.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전선을 낙동강에서 38선까지 회복한 국군은 10월 1일 38선을 돌파하면서 북진 작전을 시작했다. 고인이 소속된 3사단은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후 방어 작전 중이던 북한군 5사단을 격파했고, 양양을 점령하면서 작전에 성공했지만, 고인은 안타깝게 전사했다.

2020년 5월, 강원도 양양군 가라피리에서 발굴된 고(故) 장기수 일병 유해의 최초 식별 당시 모습. 사진 국방부

2020년 5월, 강원도 양양군 가라피리에서 발굴된 고(故) 장기수 일병 유해의 최초 식별 당시 모습. 사진 국방부

고인은 하나의 유해만 발굴되는 단독유해로 발견됐다. 102기갑여단 발굴병이 기초발굴을 하던 중 30cm 깊이에서 유해 1점을 최초 식별했고 전문 발굴 인력이 투입돼 정밀 발굴을 했지만, 추가 부위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수습된 유해는 오른쪽 정강이뼈로 확인됐다. 이후 유전자검사를 통해 가족관계로 추정되는 유가족을 특정하게 됐다. 고인의 아들 장학모씨는 2014년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했고, 해당 시료를 통해 부자 관계로 확인됐다.

장 씨는 “국가가 할 일을 해주는 것 같아 고맙다”며 감사를 표시했다. 하지만 고인을 전쟁터로 보낸 후에도 시부모님 모시고 자녀들을 키우면서 남편이 언젠가는 돌아오리라 평생을 기다렸던 배우자는 안타깝게도 2018년 91세의 일기로 작고했다. 며느리 이방순 씨는 “시어머님이 시아버님을 많이 기다리셨는데 지금이라도 찾았다고 하니 심장이 멎을 듯이 가슴 벅차다”며 “그동안 시아버님 생일에 맞춰 제사를 모셨는데, 이제는 더 잘 모실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이 난다”고 소회를 밝혔다.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신원확인 통보)’는 내달 3일 경북 안동의 유가족 자택에서 치러질 예정이다.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은 2000년 4월 시작해 지금까지 유해 198구의 신원이 확인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