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농진청, 2026년까지 17개 치유농업 거점 기관 육성

중앙일보

입력

2021년 3월 치유농업법이 시행되면서 치유농업의 발전 기반이 마련되었다. 유럽에서는 1960년대부터 개별적인 치유농장이 출현하였지만,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시발점은 원예치료가 도입된 1994년이었다. 2017년에 들어서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치유농업연구실이 설치되면서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이후 관련 법의 시행과 함께 2021년 농촌진흥청에 치유농업추진단이 설치되면서 가온머리(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되었다.

유럽의 각국이 문화적 차이나 사회적 특성에 따라 다른 형태의 치유농업 정책을 발전시켜 왔듯이 우리나라도 한국형 치유농업을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치유농업은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한 국민과 활력있는 농업·농촌을 비전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업 분야는 농업의 사회적 기여를 위한 농촌의 새로운 활로 및 소득원 발굴, 복지 분야는 질병 예방 및 회복을 통한 복지·의료 등 사회적 비용 절감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다른 부처와 함께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품화하면서 농업을 생산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의 산업으로 융·복합화하는 것을 핵심 전략으로 하고 있다. 치유농업의 체계적 기반 구축을 위해 치유프로그램의 과학적 효과검증을 통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치유농업센터 지정과 치유농업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정책의 주요 축으로 하고 있다.

치유농업은 약물치료나 수술요법 등으로 직접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현대의학과 달리 동식물 등의 농업자원을 활용해 사람의 몸과 마음을 자연에 동화시킴으로써 내재하고 있는 치유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람이 가진 감각은 외부 환경에 반응해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데 감각이 몸 안의 긍정적인 물질 분비를 유발하면서 치유기능을 발현하게 된다.

도시민이 텃밭을 조성한다고 할 때, 현재 내가 속해 있는 사회 환경에서 벗어난다는 ‘해방감’과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 ‘매혹감’, 다른 공간에서 제약 없이 돌아다니는 느낌의 ‘넓이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그 순간만큼은 정형화된 현재 삶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털어버릴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22개의 프로그램은 식물을 이용한 텃밭 가꾸기와 반려동물이나 곤충을 이용한 함께 놀기 등 생명의 소중함과 자아존중감을 함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형태로 치유농업시설에 적용되고 있다.

2017년에서 2022년에 걸쳐 353개소의 농장과 마을 등 치유농업시설이 육성되었다. 292개소의 치유농장에서는 식물·곤충·동물자원 활용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치유 마을 61개소에서는 농촌 경관자원 등을 활용한 치유관광상품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은 2026년까지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한 지역 치유농업 산업의 체계적인 지원과 국민 치유 서비스 제공 실행을 위해 광역 자치단체별로 17개의 거점기관을 육성할 계획이다.

치유농업의 확산과 협업 강화를 위해 2020년 7월 농촌진흥청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치유농업 협력 업무협약 체결하고 4개월간 1408명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연계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한 바 있다. 2021년에는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9개의 치유농업 참여농장을 선정했다.

현재 농업 분야 30개 기관, 복지 분야 20개 기관이 협력체계를 구축해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치유농업과 사회서비스 모델 구축을 위해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지원 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치매관리사업’ 등에 치유농업을 적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치유농업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해 치유농업사 자격증을 신설하고 치유농업시설 운영자의 기초소양과 전문능력 등 역량향상과 치유농업 서비스 표준화를 위해 15개의 치유농업사 양성기관을 지정하였다.

치유농업 정착과 지원을 총괄하는 농촌진흥청 치유농업추진단의 장정희 단장은 “다각화된 치유농업 사업모델 육성과 일자리 창출로 농촌 활력을 높이고, 다양한 치유농업 서비스로 국민의 삶의 질이 한 단계 높아질 수 있도록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