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규직-비정규직 임금격차 160만원으로 사상 최대

중앙일보

입력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비정규직 근로자의 2배 가까운 수준에 달했다. 비정규직 중 시간제 근로자의 근로시간이 짧은 영향도 있지만, 휴일이나 상여금 등 복지 차이도 뚜렷했다. 비정규직 고용의 질이 정규직보다 낮다는 것인데 이런 비정규직 숫자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815만명, 역대 최대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25일 통계청이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은 815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만명 늘었다. 지난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비정규직이 800만명을 돌파했는데 올해는 그보다 비정규직 숫자가 늘었다. 같은 기간 정규직은 64만1000명 늘면서 1356만8000명을 기록했다.

자발적인 사유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근로자는 전체의 62.8%로, 지난해(59.9%)보다 소폭 증가했다. 양육이나 여가 등을 위해 시간제나 한시적 일자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정규직 근로자의 자발적 선택 비율이 90.3%임을 고려하면 여전히 당장 수입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얻지 못해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임금격차 160만원…연차·상여금도 차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로 벌어졌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지난 6~8월 3개월간 월평균 임금은 288만원이다. 이를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눠 보면 정규직은 월평균 348만원을, 비정규직은 188만1000원을 번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월평균 159만9000원을 더 벌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임금 격차가 벌어진 건 비정규직 중 시간제 근로자 비중이 증가한 영향”이라며 “시간제는 근로시간이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임금 차이가 늘어났다. 시간제를 제외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가 조금 줄었다”고 설명했다.

임금 이외에 복지 차이도 뚜렷이 나타났다. 비정규직 중 연차·출산휴가 등 유급휴직을 보장받는 비율은 35.9%였다. 상여금 대상에 포함되는 비정규직도 전체의 38.5%에 불과했다. 정규직은 각각 84.5%, 88.8%에 달해 비정규직의 2배를 상회했다. 시간외수당이나 퇴직금 보장 비율에서도 이런 차이가 났다.

비정규직 10명 중 3명은 60세↑

한편 비정규직 중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8월 60세 이상이 전체 비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1.3%를 기록하면서 역대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비정규직 10명 중 3명 이상은 고령층이라는 의미다. 2015년만 해도 이 비율이 20.7%였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는 데다 정년퇴직 이후 정규직 일자리를 얻기 어려워 비정규직으로 몰리면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