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환경관련 시설 마포엔 1곳뿐...강남·성동은 3개씩 맡았다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2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마포 상암동 신규 소각장 건립지 선정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후보지 선정 철회를 촉구하며 주민공람의견서 2만여부를 쌓아두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마포 상암동 신규 소각장 건립지 선정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후보지 선정 철회를 촉구하며 주민공람의견서 2만여부를 쌓아두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의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 후보지로 마포구가 선정되자 주민들이 ‘형평성’에 위배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환경필수시설을 놓고 보면, 오히려 마포엔 소각장 한 개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와 성동구엔 각각 3개나 된다.

환경필수시설이란 도시기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시설을 말한다. 쓰레기 소각장을 비롯해 재활용선별시설, 음식물 처리시설, 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 정수센터 등 5개가 주요시설로 분류된다.

20개 자치구 31개 주요 환경시설 맡아 

21일 서울시에 따르면 5개 주요 환경필수시설은 20개 자치구에 31개가 설치됐다. 서울은 인구( 950만명)는 많고 땅(605㎢)은 좁아 환경필수시설을 지을 만한 곳이 마땅치않다. 이에 한 개 시설을 여러 자치구가 공동으로 쓸 수 있도록 광역화했다. 생활·음식물쓰레기, 하수 처리 시설 등이 해당한다.

쓰레기소각장은 노원과 은평·마포·양천·강남에 있다. 강남 소각장은 강남 외 이웃한 7개 구 쓰레기를, 노원 소각장 역시 인접한 5개 구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소각장(하늘공원로 86)을 비공개로 방문해 신규 소각장 건립 계획과 관련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서울시=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소각장(하늘공원로 86)을 비공개로 방문해 신규 소각장 건립 계획과 관련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 서울시=연합뉴스

이웃 지자체 쓰레기 등 대신 처리 

음식물처리시설도 마찬가지다. 강동 음식물처리시설은 강동 외 7개 지자체(경기도 구리 포함)와 공동으로 이용 중이다. 송파 음식물처리시설은 송파를 뺀 나머지 6개 지자체가 쓰고 있다.

지자체별로 보면, 마포구에서 있는 환경필수시설은 소각장 한 개뿐이다. 마포구에서 발생한 생활하수는 경기도 고양 난지물재생센터에서 처리하고 있다.

소각장에 하수처리장 있는 곳도

서울시 내 25개 자치구 중 강남구와 성동구에 환경필수시설이 가장 많다. 강남구에는 소각장 말고도 재활용선별시설과 하수처리장이 가동 중이다. 성동구에도 재활용선별시설과 하수처리장·정수센터가 있다. 동대문·도봉·은평·강서·영등포·송파·강동구는 각각 주요 환경필수시설 2개씩 갖고 있다. 반면 종로와 서대문·금천·동작·서초구에는 이런 시설이 없다.

전문가들은 서울시 내 각 자치구에 모든 환경필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한다.

90년대 소각장 11개 지었다면 

서울시는 1991년 11개 자치구에 소각장 건설 계획을 세웠다. 당시 자치구는 23개였다. 2개 자치 구당 한 곳씩 짓는 셈이다. 이들 시설에서 하루 처리 가능한 용량은 1만6500t이었다. 현재 서울시내 하루 쓰레기 발생량은 3687t(2020년 기준) 수준이다. 만일 91년 계획대로 소각장이 지어졌다면, 가동률은 최대 22.3%에 그쳤을 것이다.

환경 필수시설은 사용 연한이 정해져 있다. 마포구의 경우 기존 소각장은 2035년까지 철거될 예정이다. 지난 8월 말 서울시가 신규 소각장 후보지로 마포를 결정한 이후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쓰레기 발생량을 고려하면, 2036년 1월 이후 가동해야 할 추가 소각장이 또 필요하다. 기존 마포 소각장이 처리하던 쓰레기가 갈 곳이 없기 때문이다. 소각장을 또 짓는다고 하면 해당 지역 주민들은 반발할 게 뻔하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이 당선이후 연 '민선8기 비전선포식'에서 구정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을 프레젠테이션하고 있다. 사진 노원구=뉴스1

오승록 노원구청장이 당선이후 연 '민선8기 비전선포식'에서 구정운영 방향과 주요 정책을 프레젠테이션하고 있다. 사진 노원구=뉴스1

노원구청장 '소각장 현대화' 공약 

소각장이 대표 주민 혐오시설이다 보니 사용 연한이 다돼도 고쳐 쓰기가 쉽지 않다. 실제 경기도 수원은 소각장 주변 주민 반대에 부딪혀 결국 대체부지를 찾고 있다.
반면 소각장 건설에 ‘손’을 든 자치구도 있다. 1997년 지은 노원 소각장은 사용 연한이 얼마 남지 않았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6·1 지방선거 때 ‘소각장 현대화’를 공약했다. 같은 장소에 최신 소각장을 새로 지어 더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환경 필수시설의 순환체계를 강조한다. 충남대 장용철 환경공학과 교수는 “환경필수시설 인근 주민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대신 고도화된 소각장이나 음식물처리시설, 재활용선별시설 등을 권역별로 분담해 맡는 순환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소각장 인체영향 '없음' 

환경필수시설에 따른 오염물질을 지나치게 부풀려 선전하는 것도 문제다. 실제 지난달 24일 마포 신규 소각장 반대 집회 땐 소각장 배출 가스에 고통받는 듯한 아이의 얼굴을 그린 포스터가 등장하기도 했다. 마포구 청사엔 소각장 설치에 반대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렸다.

하지만 소각장 주변 대기 질은 안정적으로 관리 중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에 의뢰해 진행한 ‘주민건강영향조사’에서도 배출 물질이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환경필수시설은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해 필요한 시설”이라며 “모든 시설은 엄격한 환경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주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인식 개선 노력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