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DC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 만든다"…정부 국감후 현장 점검키로

중앙일보

입력

 16일 경찰과 소방당국이 1차 감식을 했던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현장. 발화 지점인 지하 3층 전기실의 배터리가 불에 타 있다. [사진 이기인 경기도의원 페이스북 캡처]

16일 경찰과 소방당국이 1차 감식을 했던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현장. 발화 지점인 지하 3층 전기실의 배터리가 불에 타 있다. [사진 이기인 경기도의원 페이스북 캡처]

“이번 화재로 인해 데이터센터(IDC) 전체가 셧다운(운영 중단)됐다. 이 경우에 대비한 훈련은 하지 못했다.”(홍은택 카카오 대표)

19일 기자회견에서 홍 대표는 카카오가 화재 발생 대응에 실패한 원인 중 하나로 ‘데이터센터 셧다운 훈련 미비’를 꼽았다. 그만큼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전체가 셧다운 되는 건 이례적이었다는 설명이다.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센터 사업자와 규모 모두 늘면서 전국 데이터센터의 안전 확보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보호조치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작업에 나섰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20일 오후 경기 성남시 판교 정보보호클러스터에서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사와 ‘데이터 안정화 조치 점검 회의’를 열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이번 사태를) 데이터센터의 안전성과 회복력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업계 1,2,3위인 KT클라우드,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를 비롯해 삼성SDS, LG CNS, 롯데정보통신 등 국내 주요 사업자들이 참석했다.

KT 용산 IDC. [사진 KT클라우드]

KT 용산 IDC. [사진 KT클라우드]

"보호 대책 가이드라인 필요"

이날 회의에서는 화재를 비롯한 수해·정전 등 재난 유형별 관리 계획과 대응 훈련 현황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참석자들은 각자 계획을 세워 훈련 중이지만 이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난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점검 및 훈련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현재 업체들이 제대로 하고 있는 게 맞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것. IDC 업체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업체들도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일정 부분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 우리도 나름대로 계획을 세우고 훈련을 하지만 이게 맞는건지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관련 논의도 나왔다. 특히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와 관련한 고민이 공유됐다고 한다. 데이터센터연합회 관계자는 “국내 IDC 절반 이상이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납축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효율이 떨어져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곳이 많다는 설명이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UPS로 인한 화재는 총 57건에 이른다. KT클라우드도 배터리 화재 사고를 겪은 뒤 지난해 리튬이온 배터리를 모두 납축전지와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바꿨다.

“IDC 60%가 수도권 밀집”

이날 회의에선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 문제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운영 중인 IDC(지난해 기준 159개)의 60%가 수도권에 몰려 있는데, 앞으로 지어질 IDC마저 수도권에 집중된다면 추가 전력 공급을 위해 수조 원 규모의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수도권에 데이터센터 집중이 심해지면 재난·재해 발생시 전국이 마비될 수 있다. 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력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IDC에 공급되는 1742㎿(메가와트)의 전력 중 70%(1220㎿)가 수도권에 있고, 강원ㆍ충청권 15%(251㎿), 경상권 12%(211㎿), 그리고 전라권 3%(60㎿) 순이었다.

과기정통부는 업계의 의견을 종합해 행정권고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오늘부터 제도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 다음주 국감이 끝난 후 현장 점검과 연구 등을 본격적으로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