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창동 밤거리 다시 화려해졌다…유흥주점 매출 3배로 급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4일 밤 10시 서울의 유흥가로 꼽히는 북창동 골목. 회식을 마친 것으로 보이는 40대 직장인 남성 4명이 지나가자 한 호객꾼이 “아가씨 나오는 2차 장소 찾으세요?”라며 일행 한명의 팔을 잡아당겼다. 이들은 몇분간 술값ㆍ봉사료 등을 놓고 흥정을 벌이더니 네온사인이 화려한 한 유흥주점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꺼져가던 유흥주점ㆍ호프집 등 술집의 간판들이 다시 한국의 밤을 밝히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그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억제됐던 회식ㆍ술자리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찍 퇴근해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리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이같은 추세가 오래 지속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1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외식산업포털 ‘The외식’에 따르면 올해 7월 ‘일반 유흥주점업’의 신용카드 매출액은 2105억원으로 지난해 7월(762억원)의 약 세 배로 늘었다. 술을 마시며 춤을 출 수 있는 ‘무도 유흥주점업’의 신용카드 매출도 같은 기간 174억원에서 641억원으로 4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현금 결제가 많은 특성상 이들 업종의 월매출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외식산업 종사자의 체감 경기를 지수화한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100을 넘으면 경기 호전, 100을 밑돌면 악화)도 비슷한 흐름이다. 2분기 기준으로 일반 유흥업종과 무도 유흥업종의 경기동향지수는 각각 92.61ㆍ90.01로 지난해 2분기보다 50% 넘게 높아졌다.

이들과 함께 ‘주점업’으로 분류되는 생맥주 전문점과 기타 주점업도 회복 조짐이 뚜렷하다. 14일 서울 을지로 일명 ‘노가리 골목’의 주요 주점은 자정이 가까운 시각에도 손님들이 자리를 뜨지 않았다. 이곳에서 만난 직장인 오모(47)씨는 “오랜만에 친구들 여러 명이 모인 데다, 어차피 이 시각은 택시 잡기도 힘들기 때문에 집에 늦게 갈 작정을 하고 술을 마신다”고 말했다.

생맥주 전문점의 지난 7월 신용카드 매출액은 950억원, 기타 주점업은 539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97.5%ㆍ77.9% 늘었고, 경기동향지수 역시 1년 새 50% 정도 뛰었다.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호텔외식경영학과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그동안 미뤄왔던 사적 모임이 크게 늘었다”면서 “여기에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정상출근으로 돌리고, 대학생들의 대면수업이 늘어나는 등 사회 접촉이 확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덕분에 이들 업종이 포함돼있는 ‘주점업’의 2분기 ‘서비스업 생산지수’(2015년=100, 불변지수 기준)는 85.2로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개별 사업체의 매출액 같은 생산 활동에 기반해 산출된 지표인데, 주점업의 실질 경기가 그만큼 빠르게 살아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장기간 참았던 술자리가 갑자기 많아진 탓에 생긴 일시적인 ‘보복 음주’ 현상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과거처럼 3차ㆍ4차로 새벽까지 이어지던 회식과 화려한(?) 밤문화가 부활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과 개인 생활이 균형을 이루자는 ‘워라밸’ 바람이 불고 있고, 기업들도 이런 분위기에 맞춰 퇴근 후 회식ㆍ모임 자체를 줄이는 분위기”라며 “역설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과도한 음주를 기피하는 문화가 자리 잡았고, 혼술을 즐겨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시대가 됐다”고 짚었다. 정 교수는 이어 “대표적인 오프라인 상권인 주점업의 매출은 당분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4개 주요 주점업종의 올해 매출도 2020년ㆍ2021년과 견줘 증가했을 뿐,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매출은 되려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로 살펴봐도 2019년 2분기(91.4)보다 업황이 나쁘다. ‘음식접업’과 ‘비알코올 음료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올해 2분기 수치(각각 92.0, 198.7)가 2019년 2분기(90.8, 129.4)보다 더 높아진 점과 대비된다.

김영갑 교수는 “새로 창업을 하려는 사람들도 술집 창업은 기피하는 분위기”라며 “대신 이젠 취하러 가는 곳이 아닌, 분위기를 즐기기 위해 가는 ‘취향 저격형’ 술집이 많아지는 등 주점업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