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마음 읽기

국화꽃 망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원영스님 청룡암 주지

원영스님 청룡암 주지

법당을 장식한 꽃이 며칠 못 가 금세 시들해졌다. 도량 가득한 국화 향기에 기(氣)가 눌린 것일까. 관상용 꽃이 제아무리 아름다워도 역시 가을 국화의 풍미에는 비할 바가 못 되는가 보다.

조석으로 꽃잎을 여닫던 청초한 연꽃이 지더니, 어느새 찬 서리 맞고도 기죽지 않을 국화가 피었다. 그 옛날 다산 선생은 ‘해마다 국화 분 수십 개를 길러 여름에는 잎을 보고 가을에는 꽃을 감상하고, 낮에는 자태를 밤에는 그림자를 사랑했다’(『국영시서』)던데, 나 또한 이 작은 암자에 색색의 국화를 들여놓았다. 정인보와 서정주의 시도 곁들여 써두었다.

법당 계단에 낮게 걸터앉아 소담한 국화를 바라보고 있노라니, 옛 시인의 정취마저 느껴지는 듯하다. 국화를 사랑했다는 도연명은 ‘동쪽 울타리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採菊東籬下) 홀연히 남산을 바라본다(悠然見南山)’ 했던가. 나도 그처럼 눈을 들어 먼 산을 보았다. 선선한 바람이 얼굴에 와 닿았다. 불어오는 바람결이 이제는 제법 가을답다.

넉넉한 국화 향기에 취하는 가을
자기 집착을 없애야 번뇌 사라져
악습 반복하는 관성서 벗어나야

한편, 서산대사는 국화와 소나무를 심어놓고 세상 사람들에게 색(色)이 곧 공(空)인 줄 알게 하기 위함이라 했는데, 그분의 ‘재송국(栽松菊)’은 아직 내겐 먼 이야기다. 어쨌거나 국화도 환히 필 때까지는 힘겨운 계절의 순환이 필요했는데, 적어도 감상할 겨를은 있어야지 않겠는가.

가을이 오면, 나는 이따금 러시아에서 걸었던 자작나무 숲길이 떠오른다. 바이칼호수로 가던 중 이르쿠츠크 어디쯤이었다. 쓸쓸한 자작나무 숲길을 걸으며 이상하리만치 마음이 평온했다. 숲속에 갇혔는데 마냥 행복하고 가벼웠다. 영화 ‘닥터 지바고’의 ‘라라의 테마’를 흥얼거리며 라라처럼 걸었던 기억이 난다. 이 글을 쓰는 이른 아침, 마침 라디오에서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협주곡 35번’이 흘러나온다. 추억을 진하게 해주니, 이 또한 고맙다.

광활한 러시아에서 시베리아 횡단열차가 안겨주는 불편함을 모두 잊게 해주었던 자작나무 숲길이 작은 암자의 추국(秋菊) 너머로 끝없이 펼쳐진다. 오래 머물고 싶은 망념이다. 친절한 망념은 머지않아 그리움이 되고, 그리움은 곧 번뇌가 되니, 일렁이는 번뇌를 잠재우느라 오늘은 한참을 헤맬 모양이다.

번뇌가 많을수록 인생의 고통 또한 차곡차곡 쌓이는 법! 번뇌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대상이 무엇이건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집착하면 고통이요, 놓아버리면 편안해진다. 그런데 계절로 보면 놓아버리기 힘든 때가 가을이다. 결실의 계절인 만큼, 결과물이 속속 드러나는 시기라 더 그런지도 모르겠다. 그러므로 가을은 사람들에게 쉬이 상실감을 안겨준다. 크고 작은 결과물이 서로 비교가 되고 상처가 되어 삶을 고되게 만든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그토록 갈망하는 자유로운 삶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다. 괴로울 게 뻔한데도 악습을 반복하며 살아간다. 오랜 관성이요, 업(業)의 고리다. 자신의 이기적 욕구와 허상이 혼란과 고통을 가중하는 줄 알면서도, 자기 주관에 따라 좋고 싫은 분별을 한다. 도덕적 의지가 약해질수록 이중성은 커지게 마련이다.

미국의 루스 베네딕트가 1946년에 쓴 『국화와 칼』이라는 책이 있다. 예의 바르고, 탐미적이기까지 한 일본인 속에 잔인한 칼이 들어있다며 그들의 이중성을 말해주는 책이다. 그러나 어디 일본인뿐이겠는가. 이중적 성품은 국적이나 신분을 가리지 않는다. 그래서 불교는 ‘출생을 묻지 말고 행위를 물으라’고 가르친다. 어떤 나무를 태워도 똑같이 불이 생기는 것처럼, 그게 누구든 행위에 따라 격이 달라질 뿐이라는 가르침이다.

국화꽃 망념이 여기에 이르렀을 때 “가을이 사라지는데 뭐하니?” 한 스님이 물었다. 그 말에 사로잡혀 불현듯 떠오른 이가 있어 통도사로 향했다. 명산대찰이라더니, 영축산과 통도사가 이리 굵직하고 멋진 도량이었나 깜짝 놀랐다. 학인 스님들을 담은 사진전도, 어여쁜 국화도 미소 짓게 했다. 운이 좋아 자장암에서는 만나기 어렵다는 금와보살도 친견했고, 서운암의 푸른 산줄기는 바람만큼이나 시원했다. 스님들과 어울려 마신 차도 고상하게 솟은 소나무를 닮았다. 고결하면서도 담백했다. 마지막으로 화엄의 대가 용학 스님의 시 ‘사국여향(謝菊餘香)’을 남긴다. 오늘 내 망념의 끝은 여긴가 보다.

‘가을볕은 고요히 맑은 연못으로 스미고(秋日寂然玉水池)/ 국화는 찬 이슬 머금고 난만히 어울렸네(金花爛漫傲霜時)/ 온산 가득한 풍엽은 솔바람이 씻어주니(滿山紅葉松風灑)/ 시든 국화 넉넉한 향기 옛 벗은 알리라(謝菊餘香舊友知).’

원영 스님 청룡암 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