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요청에 尹-기시다 25분 통화…"북에 엄정대응, 수시 소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오후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하고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에 대한 양국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통화를 하고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등 일련의 북한 도발에 대한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통화를 하고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등 일련의 북한 도발에 대한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 대통령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오후 5시 35분부터 6시까지 25분간의 전화 통화에서 북한의 IRBM 발사를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 행위”라고 규탄하고 “북한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ㆍ일 양국이 협력해 나가자”며 뜻을 모았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전했다.

이 부대변인에 따르면 양 정상은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중단돼야 하고,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며 “한·미·일 3자 간 안보협력은 물론 안보리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굳건히 연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또, “한ㆍ일 양국은 국제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있어 협력하여야 할 파트너”라며 “지난달 유엔 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회담을 포함해 양국관계에 긍정적 흐름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안보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수시로 격의 없이 소통해나가기로 했다고 이 부대변인이 전했다.

이날 양 정상의 통화는 일본 측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일본은 북한이 4일에 쏜 IRBM이 2017년 이후 5년 만에 자국 상공을 통과한 것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데,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와의 통화를 앞둔 이날 출근길 도어스테핑에서 “그저께 일본 열도를 지나간 IRBM 때문에 일본이 아주 난리가 난 모양인데, 안보 현안에 대한 얘기가 있지 않겠나 예상한다”고 말했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도 4일(미국 현지시간) 통화했다. 백악관은 “양 정상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을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규탄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와의 전화 통화는 윤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이던 3월 11일 이후 두 번째다. 당시 15분간의 통화에서 양 정상은 한ㆍ미ㆍ일 공조 강화 원칙을 확인하며 “힘을 모아야 할 미래과제가 많은 만큼 우호 협력 증진을 위해 함께 협력하자”(윤 대통령), “건전한 한ㆍ일 관계는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 확보에 불가결하다”(기시다 총리)는 말을 주고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뉴욕 총회 참석을 계기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양자 회담을 했다. 사진은 뉴욕 유엔 총회장 인근 한 콘퍼런스 빌딩에서 양 정상이 회담에 앞서 악수하는 모습.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뉴욕 총회 참석을 계기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양자 회담을 했다. 사진은 뉴욕 유엔 총회장 인근 한 콘퍼런스 빌딩에서 양 정상이 회담에 앞서 악수하는 모습. 뉴시스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한ㆍ일이 보폭을 맞추면서 그간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공감해온 양국의 해빙 분위기도 완연해지는 모양새다. 지난 6월 나토(NATOㆍ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열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처음 조우한 양 정상은 아시아ㆍ태평양 파트너국(AP4) 정상회동, 한ㆍ미ㆍ일 정상회담까지 현지에서 수차례 대면했고,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에 대해 “양국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후 2019년 12월 이후 33개월 만인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유엔 총회를 계기로 뉴욕에서 한ㆍ일 정상회담을 한 양 정상은 핵 무력 법제화 등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자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곧이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국장에 한덕수 총리를 비롯한 한국 정부 조문단이 다녀가는 등 양국 간의 대화가 이어졌다.

이런 일련의 흐름 속에 최근 들어 기시다 총리의 공식 발언 뉘앙스도 달라졌다. 3일 일본 임시국회 연설에서 기시다 총리는 “한국은 국제사회의 여러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해야 할 중요한 이웃”이라며 “한ㆍ일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고 더욱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어 한국 정부와 긴밀히 의사소통해 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총리 취임 후 첫 의회 연설에서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서라도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따라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해 나가겠다”고 밝힌 이래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해법 마련을 촉구해왔던 것과는 다른 뉘앙스다.

윤 대통령도 이날 기시다 총리의 최근 의회 연설을 “전향적인 발언”이라고 평가한 뒤 “일본 조야 여론을 많이 감안해 다양한 국제적인 담론과 현안들에 대해 함께 헤쳐나가야 할 중요한 이웃이고 한ㆍ일 관계가 조속히 정상화돼야 한다는 발언이 있었기 때문에 (통화에서) 아마 그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양 정상이 통화에서 “양국관계에 긍정적 흐름이 있다. 안보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해 수시로 격의 없이 소통해나가자”고 한 만큼, 강제 징용 문제 등 양국 현안을 풀어가려는 당국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