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통령 표창' 상금도 내놓았지만…러 고려인 학교, 쫓겨날 판

중앙일보

입력

5일 김 발레리아 교장(가운데)이 고려인 민족학교 내 유치원생들과 야외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김 발레리아

5일 김 발레리아 교장(가운데)이 고려인 민족학교 내 유치원생들과 야외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김 발레리아

“이 상이라도 없었으면….”

 ‘세계한인의 날’인 5일 김 발레리아(61·여)는 수강 소감을 묻는 말에 답하다가 말끝을 흐렸다. 러시아 우수리스크에서 고려인 학교를 운영하는 그는 이번 달 초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41회 세종문화상(문화 다양성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대통령 명의로 수여되는 표창장엔 ‘문화 다양성에 이바지한 공로가 인정된다’는 내용이 적혔다.

 지난 5월 주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한국 영사관은 김 발레리아를 세종문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아리랑 예술단과 고려인 민족학교를 만들어 한국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는 이유였다. 문체부는 전문가심사위원회와 공적심사위원회를 거쳐 김 발레리아를 수상자로 선정했다. 표창장과 함께 상금 3000만원을 받게 됐지만 김 발레리아의 표정은 어두웠다. 세금을 제한 상금 모두를 학교 건물 1년 임차료 240만 루블(한화 약 5827만원)에 투입해도 모자랄 만큼 재정난을 겪고 있어서다. 김 발레리아는“하늘길이 막혀서 한국의 시상식은 못 가지만 상금은 받아서 다행”이라며 “당장 건물을 뺄 위기는 막았지만 앞으로가 문제”라고 말했다.

우수리스크 유일한 고려인 학교 

지난 4월 고려인들이 고려인 민족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다. 한때 150여명이었던 학생 수는 최근 70여명으로 줄었다. 사진 김 발레리아

지난 4월 고려인들이 고려인 민족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다. 한때 150여명이었던 학생 수는 최근 70여명으로 줄었다. 사진 김 발레리아

 고려인 민족학교는 우수리스크에 있는 유일한 한국어·문화 교육기관이다. 고려인 민족문화자치위원회 출신인 김 발레리아가 2019년 최재형기념사업회(기념사업회)의 도움을 받아 세웠다. 우수리스크엔 고려인 약 1만 6000명이 거주한다. 전체 주민 10%가 고려인이지만, 한국 교육원이 있는 블라디보스토크와 달리 한국어·문화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없었다. 이 사실이 안타까웠던 김 발레리아는 2019년 5월 우수리스크의 한 건물을 계약했다.

 기념사업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있던 인천시교육청이 운영비로 3000만원을 지원한 데 이어 동아시아 청소년 역사기행 등 탐방 행사를 열었다. 전북도는 실내 인테리어 비용을 지원했고 경기도는 도서를 제공했다. 2019년 9월 5개의 교실과 공연홀· 무대의상실 등을 갖춘 고려인 민족학교가 문을 열었다.

지난 4월 고려인 민족학교 내 유치원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 김 발레리아

지난 4월 고려인 민족학교 내 유치원생들이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 김 발레리아

 그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위기가 왔다. 역사탐방, 아리랑 무용단 공연 등이 제한되면서 수입이 끊겼다. 학교 내 유치원을 세워 유치원 30여명에게 개인당 1만 5000루블(한화 36만원)을 유치원비로 받으면서 간신히 건물 잔금을 치뤘지만 지난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이 길어지면서 물가가 폭등했다. 전쟁 전엔 1000루블(한화 2만 4160원)이면 살 수 있던 쌀 10㎏ 값이 약 3000루블로 뛰었다. 해외수입이 제한되면서 우수리스크 내 소시지 공장 등이 문을 닫았고 파산하는 개인 사업자도 늘었다고 한다. 생계 곤란을 견디다 못해 우수리스크를 떠나거나 아이들의 학업을 포기하는 부모가 늘면서 올해 초 150여명이었던 고려인 민족학교 학생은 반년 사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최근 예비군을 대상으로 한 부분 동원령까지 내려지면서 우수리스크엔 전쟁 이전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것 같다는 이야기가 퍼지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19로 한국 지자체의 지원도 끊긴 데다가 우수리스크의 전반적인 상황도 계속 어려운 탓에 기댈 수 있는 곳이 없다”라고 김 발레리아는 전했다.

고려인 민족학교 정문엔 '새 입주자를 구하겠다'는 러시아어 안내문이 붙었다. 사진 김 발레리아

고려인 민족학교 정문엔 '새 입주자를 구하겠다'는 러시아어 안내문이 붙었다. 사진 김 발레리아

 최근 고려인민족학교 정문엔 러시아어 안내문이 붙었다. 매년 초 1년 치 임차료를 지불하는 방식을 월세로 바꿔 달라고 요청하자 건물주가 새로운 입주자를 구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안내문이 붙은 뒤론 학생들도 불안해하고 “학교가 문 닫느냐”고 묻는 학부모도 늘었다고 한다. 김 발레리아는 “계속 상황이 안 좋지만, 아직 저를 믿고 학교에 오는 아이들이 많다. 어렵게 만든 학교인 만큼 끝까지 지키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