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곡부터 아리아·왈츠까지…클래식 본고장 홀린 K클래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구 코리안심포니)는 개명 후 첫 유럽투어에서 소프라노 임선혜(앞줄 왼쪽), 테너 김재형 등이 한국 가곡과 오페라 아리아 등을 선보였다. [사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구 코리안심포니)는 개명 후 첫 유럽투어에서 소프라노 임선혜(앞줄 왼쪽), 테너 김재형 등이 한국 가곡과 오페라 아리아 등을 선보였다. [사진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지난 2일 오전 11시(현지시간)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연주 공간인 빈 무지크페라인잘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입장했다. 올해 초 코리안심포니에서 국립심포니로 명칭 변경 후 떠난 첫 유럽투어의 마지막날이었다. 지난달 28일 스톡홀름 콘서트홀, 30일 부다페스트 에르켈 극장에 이어 빈 신년음악회로 유명하고 아름다운 음향을 자랑하는 장소에 섰다.

제6대 음악감독 정치용이 지휘대에 올라 국립심포니 초대 상주작곡가인 김택수의 ‘더부산조’로 공연을 시작했다. 얇은 회초리를 모아 굵은 봉처럼 만든 서양 타악기 ‘루테’를 보면대에 치자 국악기 박의 울림처럼 생소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태평소를 모방한 관악기가 장단을 리드했고, 휩쓸릴 듯한 관현악의 한국적 기세가 돋보였다.

이어서 한국의 말맛을 느낄 수 있는 우리 가곡들이 연달아 연주됐다. 먼저 소프라노 임선혜가 등장해 임긍수 가곡 ‘강 건너 봄이 오면’을 불렀다. 가슴 뭉클한 전주와 포근한 국립심포니의 연주 위에 꾀꼬리 같은 가창으로 낭랑하게 울리는 우리말 가사는 이국땅에서 더욱 감격적으로 들렸다. 임선혜는 “22년째 유럽 무대에 섰지만 빈 무지크페라인잘 대기실에 한글로 ‘임선혜’라고 붙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감회가 새롭다”고 했다.

이수인 ‘내 마음의 강물’을 부른 테너 김재형의 음성은 쩌렁쩌렁 울렸다. 전날인 1일 프랑크푸르트 알테 오퍼에서 열린 오페라 ‘토스카’에서 주역 테너 카바라도시를 부르고 빈에 온 그는 여전히 힘찬 고음으로 한국적인 정서를 발산했다. 빈 국립오페라 전속 성악가로 활약한 베이스 박종민은 이안삼 곡 ‘그리운 내 친구여’를 불렀다. 고급스런 저음으로 천천히 읊는 듯한 노래가 마음을 움직였다.

박종민

박종민

오페라 아리아가 한국 가곡의 뒤를 이었다. 로시니 ‘방금 들린 그대 음성’에서 임선혜는 가볍게 띄우는 비음과 미끄러지는 고음을 선보였다. 김재형이 부른 레하르 ‘미소의 나라’ 중 ‘그대는 나의 모든 것’에는 힘찬 노래 속에 절절한 심정이 실려 있었다. 박종민이 부른 모차르트 ‘돈 조반니’ 중 ‘카탈로그의 아리아’는 이날 공연 중 빈에 가장 어울린 순간이었다. 모차르트 해석에 탁월한 정치용의 지휘가 빛났고, 물 만난듯 능청맞게 수첩을 펼치며 노래하는 박종민의 연기에 현지 사람들도 웃음을 터뜨렸다.

휴식시간 뒤 메인 프로그램은 차이콥스키 교향곡 4번이었다. 1악장은 금관의 포효로 시작했다. 둥글게 울리는 무지크페라인의 음향이 또 다른 악기처럼 감칠맛을 더했다. 점차 고조되며 나오는 총주에서 페스트리 빵처럼 층이 느껴졌다. 클라리넷과 바순 플루트가 맴돌이를 한 이후 현이 섬세하게 진행했다.

이날 공연의 앙코르는 슈트라우스 2세 ‘관광열차 폴카’였다. 한국의 국립심포니가 연주하는 빈 왈츠는 오스트리아 사람들에게도 인상적으로 다가갔다. 공연을 지켜본 오스트리아 연방의회 국회의원이자 한·오 의원 친선협회장인 마리아 그로스바우어는 “한국 가곡의 선율이 아름다웠다. 가사는 몰랐지만 제목으로 분위기를 상상하며 눈물이 났다. 이게 음악의 힘”이라고 말하면서 “차이콥스키 교향곡 4번에서 국립심포니 현악의 비브라토, 관악기의 연주가 평소 유럽에서 보던 것과 달랐다. 자유로운 해석에서 음악의 아름다움이 우러난다”고 소감을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