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7개월째 줄어든 통화량 증가율, 증시 반등 당분간 힘들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4.90p(0.63%) 내린 2332.31로 거래를 마친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3.48p(0.46%) 내린 751.41으로,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5.5원 오른 1,409.7원으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4.90p(0.63%) 내린 2332.31로 거래를 마친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3.48p(0.46%) 내린 751.41으로,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5.5원 오른 1,409.7원으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석 달째 이어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 여파로 22일 국내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Fed가 고강도 긴축 기조 방침을 확고히 하고 있어 당분간 눈에 띄는 증시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63% 내린 2332.31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도 0.46% 떨어진 751.41에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612억원어치, 기관은 2830억원어치를 팔아치웠고, 개인만 홀로 3137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21일(현지시간) Fed의 ‘자이언트 스텝’ 결정과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 발언’, 한미 금리 역전(한국 2.5%, 미국 3.0~3.25%)에 따른 원화가치 급락 등의 여파로 투자 심리가 얼어붙은 것이 지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Fed의 통화 정책은) 더 긴축적이거나, 더 오래 긴축적이어야 한다”며 시장과 타협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파월 쇼크’에 국내 투자자 시름도 깊어질 전망이다. ‘더 오래 긴축적인’ 미국의 금리 인상 방침에 한국은행도 ‘키 맞추기’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현금 통화량 증가세를 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증권은 한국은행이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3.25%로 인상하고 내년 2월 3.5%까지 인상해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시중에 통화량이 줄면 현금이 귀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주식·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 국내 통화량 증가율은 대체로 코스피와 비슷한 방향성을 보였다. 통화량을 측정하는 광의통화(M2·수시입출금식 예금, 정기 예·적금 등) 증가율은 지난해 12월(13.6%)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하락했다. 올해 초부터 계속된 금리 인상 여파 탓이다. 지난 7월 M2 증가율은 8.2%로 코로나19 확산 직전(2020년 2월) 수준까지 떨어졌다. 국내 증시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락했다.

통화량 증가율 하락세는 앞으로도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Fed는 올해 연말까지 1~1.25%포인트, 내년에는 0.25~0.5%포인트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장기화하는 긴축 기조는 증시로 유입될 통화량 증가율을 낮춘다.

증권가에선 코스피가 2050선까지 하락할 가능성까지 내다보고 있다. 시중 통화 감소와 함께 경기침체 우려도 더 커진 탓이다. 이자비용이 오르는 환경에선 기업들은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는 긴축 경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이는 실업 증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기조를 고려하면 코스피 최저점은 2050선까지 하락 추세를 보일 수 있다”며 “전략적으로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