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ADB,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물가는 3.0%

중앙일보

입력

지난 7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내년 우리나라의 성장률 눈높이를 낮췄다. 역내 인플레이션 압력은 내년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2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이날 발표한 ‘2022년 아시아 경제 수정 전망’을 통해 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기존 2.6%에서 0.3%포인트(p) 낮춘 2.3%로 전망했다.

이는 우리 정부 전망치(2.5%)보다는 낮고, 한국은행(2.1%)과 국제통화기금(IMF)(2.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2%)보다는 높은 수치다.

ADB는 올해 한국 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7월 전망 때 당초 발표한 연간 전망(3.0%)에서 0.4%p 낮춘 뒤 이를 유지했다.

주요 리스크로는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강력한 통화 긴축 정책과 우크라이나 사태를 제시했다.

특히 중국의 경기 침체가 기대치 대비 심각한 점을 지적하며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ADB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4.0%에서 3.3%로 0.7%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5.3%로 집계됐다.

전체 아시아 개발도상국(46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3%로 기존 전망(4.6%) 대비 0.3%포인트 내려갔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4.9%로 종전(5.2%)보다 0.3%포인트 하향됐다.

한국의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전망과 같은 3.0%로 제시됐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4.5%로 기존 전망이 유지됐다.

아시아 개도국 물가상승률은 에너지·식품 가격 상승으로 7월에 비해 올해는 0.3%p 오른 4.5%, 내년에는 0.5%p 상향한 4.0%로 조정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ADB는 통상적으로 매년 4차례에 걸쳐 아시아 역내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에 연간 전망을 내놓고 7월 보충 전망, 9월 수정 전망, 12월 보충 전망으로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