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에어택시 타고 제주관광, 3년 앞으로 성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K-UAM 드림팀이 제주도에 건설할 예정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이착륙장(버티포트) 조감도. [사진 한화시스템]

K-UAM 드림팀이 제주도에 건설할 예정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이착륙장(버티포트) 조감도. [사진 한화시스템]

국내 기업들이 3년 안에 ‘하늘을 나는 택시’(도심항공모빌리티·UAM)를 선보이겠다며 팔을 걷어붙였다. 현대차와 한화·롯데·GS 등 국내 대표 대기업들이 각각 컨소시엄을 이뤄 미래 사업으로 키우고 있어 누가 시장을 선점할지도 주목된다.

한화시스템과 한국공항공사, SK텔레콤 등이 구성한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이 포문을 열었다. 14일 이들은 제주도와 함께 ‘제주형 UAM 시범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전남 고흥 국가 종합비행성능시험장의 1단계 실증, 수도권·도심 지역으로 확대하는 2단계 실증 이후 2025년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K-UAM 드림팀은 제주도를 상용 서비스 장소로 찍고, 2025년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지를 잇는 시범 운행에 나설 계획이다.

한화시스템과 미국 오버에어가 공동 개발 중인 UAM 기체 ‘버터플라이’. 내년 시험 비행을 앞두고 있다. [사진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과 미국 오버에어가 공동 개발 중인 UAM 기체 ‘버터플라이’. 내년 시험 비행을 앞두고 있다. [사진 한화시스템]

제주도는 안전한 운항 환경과 충분한 관광 수요를 갖춰 상용 UAM 서비스의 최적 후보지라는 게 K-UAM 드림팀 측의 설명이다.

한화시스템은 UAM 기체 개발과 제조·운영·유지보수 및 항행·관제 솔루션을 개발한다. 공항공사는 UAM 버티포트(수직이착륙장) 구축과 교통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SK텔레콤은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운영, 통신시스템 등을 맡는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는 “관광·문화 자원이 집약된 제주에서 새 교통수단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미래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은 미국 UAM 선두업체인 오버에어의 대주주로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인 ‘버터플라이’를 개발 중이다. 내년 실물 크기 무인 시제기를 시험 비행할 예정이며, 2025년 미국 연방항공청(FAA) 형식 인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K-UAM 그랜드 챌린지’에 참여하는 컨소시엄은 크게 4곳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월 기존 UAM사업부를 ‘미래항공모빌리티(AAM)본부’로 확대 개편하고, 지역항공모빌리티(RAM)를 아우르는 3차원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UAM은 공항~도심 100㎞ 안팎을 날지만, RAM은 도시와 도시 간 200㎞ 넘는 항속거리가 필요하다. UAM은 배터리로만 운항할 수 있지만 RAM은 추가 동력원이 필요하다. 현대차그룹이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진 수소연료전지가 결합하면 가능한 기술이다.

현대차그룹은 KT와 대한항공, 인천공항공사 등과 짝을 이뤘다. 영국의 UAM 스타트업인 어반에어포트, 영국 항공기 엔진 제조사 롤스로이스, 프랑스 엔진 업체 사프란 등과도 협력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 AAM 법인 ‘슈퍼널’을 설립해 자율비행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육상 모빌리티를 통해 차량과 사람, AAM이 만나는 허브로 이동하면, 다시 AAM을 통해 다른 허브로 이동하는 등 ‘끊김 없는’ 모빌리티를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롯데지주와 롯데렌탈은 미국 스카이웍스 에어로노틱스(비행체 개발), 미국 모비우스에너지(배터리 모듈 개발), 한국 민트에어(비행체 운영) 등과 손잡고 UAM 상용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인천시, 항공우주산학융합원 등과 협약을 맺었다. 2년 뒤 인천공항~서울 잠실 간 UAM 운행이 목표다.

GS그룹은 영국 버티컬에어로스페이스(비행체 개발)와 제휴해 부산에서 UAM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컨소시엄에는 LG유플러스, LG사이언스파크, 카카오모빌리티, 제주항공과 무인항공 솔루션 업체인 파블로항공 등도 함께한다.

이 밖에도 대우건설이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휴맥스모빌리티, 아스트로엑스 등과 관광용 UAM 사업을 추진 중이다. GS ITM도 티웨이항공, 다보이앤씨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관중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UAM 생태계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 수준은 미국을 제외하면 크게 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며 “다만 2025년 상용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려면 비용을 낮춰야 하고, 소음 등 규제 정비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