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06/331723ad-c95d-4050-a581-911d3bf8aa1f.jpg)
[뉴스1]
국제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 속에 전력·가스 도매가격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 한국전력공사(한전)와 한국가스공사의 손실도 커질 수밖에 없다. 요금 인상을 눌러온 데도 한계가 왔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물가를 잡아야 하는 정부의 고민도 커진다.
5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가스공사의 9월분 가스 열량단가(도매가격)은 Gcal(기가 칼로리)당 14만4634원으로 전년 동월(6만526원) 대비 2.4배 수준이다. 6월 7만7662원에서 넉 달째 오름세다. 러시아의 유럽행 가스 공급이 지연되면서 가스 가격이 더 오를 거란 전망이다.
한전이 각 발전사에서 전력을 살 때 적용되는 계통한계가격(SMP)도 이달 들어 육지 기준 ㎾h(킬로와트시)당 200원을 훌쩍 넘어섰다. 지난 2일엔 245.42원으로 역대 최고치였다. 2012년 2월 8일(225.17원) 역대 최고치를 1~3일에 모두 넘어섰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원유·석탄·가스 3대 에너지원 수입액은 185억2000만 달러로 지난해 8월(96억6000만 달러)보다 91.8% 뛰었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한전은 올 상반기에만 14조303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1873억)의 76배를 넘는 수준이다. 한전의 재무 전망에 따르면 올해 영업 손실은 27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30조원 넘는 적자를 낼 거란 전망도 나온다. 한전 관계자는 “SMP는 가스 가격에 따라 결정되는데 국제 가스값이 계속 올라 같이 오를 수밖에 없다. 올해 적자가 예상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가스공사도 원료인 가스를 비싸게 들여온 뒤 싸게 팔아 생긴 미수금이 6월 기준 5조1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미수금은 1조8000억원이었다. 가스공사는 내년 3월께 미수금이 12조6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본다.
문제를 해결할 근본 방안으론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꼽힌다. 하지만 정부로선 물가에 줄 부담이 걱정이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5.7%로 3개월 만에 6%대에서 내려갔다. 하지만 같은 기간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15.7%로 훨씬 높았다. 역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한 7월과 같다. 특히 전기료(18.2%)와 도시가스(18.4%)를 따로 떼 놓고 보면 상승률이 더 올라간다.
지난해 말 정부 결정에 따른 도시가스와 전기 요금 인상은 10월에 계획돼 있다. 전기요금에선 기준연료비가 4월에 이어 ㎾h당 4.9원 오를 예정이다. 가스 요금도 정산단가가 MJ(메가줄)당 1.9원에서 2.3원으로 인상될 예정이다.
그래도 추가 요금 인상을 더는 늦추기 어렵다는 반론이 만만치 않다. 겨울 난방이 본격화하는 11월 이후 가스 대란이 오고 가격 급등세도 심각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한전과 가스공사의 손실이 더 커지면 자구 노력을 통한 재정 건전화도 물 건너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은 “물가만 신경 쓰면 전력·도시가스 공급의 안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면서 “에너지 위기 상황이니 수요를 줄여야 한다는 신호를 국민에게 주는 측면에서 요금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다음 달 요금 인상 시 예정된 상승분 외에 가스 기준연료비 등을 추가로 올리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등에선 물가 부담 등을 들어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유 학장은 “가스 요금 중 기준연료비는 10월에 추가로 올리고, 전기 요금의 연료비 조정단가는 연간 상한선(㎾h당 5원)을 다 채웠기 때문에 연내 기준을 바꾼 뒤 내년 초부터 인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달 물가 상승세가 둔화한 가운데서도 먹거리 물가는 고공 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올라 2009년 4월(8.5%)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