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홍동백서 전통예법 아니다" 성균관이 알린 추석 차례상 진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석을 앞두고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 온 성균관이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내놓았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 최영갑 위원장은 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명절만 되면 ‘명절 증후군’과 ‘남녀 차별’이란 용어가 난무했다. 심지어 명절 뒤끝에는 이혼율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을 모두 우리 유교 때문이라는 죄를 뒤집어써야 했다”며 “유교의 중추 기구인 성균관은 이러한 사회 현상이 잘못된 의례 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오랫동안 관행처럼 내려오던 예법을 바꾸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최 위원장은 “명절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을 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며 “성균관에서는 9차례 회의를 거쳐 ‘차례 표준안’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차례상 표준안. 사진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사진 성균관

성균관이 제시한 ‘차례 표준안’의 핵심은 간소화다. 가령 ‘홍동백서’ ‘조율이시’라는 표현은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으며, 그냥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했다.
또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명절 때 전을 부치느라 고생할 필요가 더는 없다는 뜻이다.

신위(神位)에 대해서도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지방 대신 사진을 올려놓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다고 했다.

성묘를 하는 시기도 차례를 지내기 전이든 이후든 가족이 논의해서 정하면 된다고 했다.

이번에 성균관이 발표한 ‘차례 표준안’에 따르면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다고 했다. 성균관 측은 “이렇게 상차림을 하는 것도 가족이 서로 합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성균관 측은 “예의 근본정신을 다룬 유학 경전 ‘예기(禮記)’의 ‘악기(樂記)’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대례필간ㆍ大禮必簡)고 한다”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