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尹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 달 착륙 도전하는 심정으로 해달라"

중앙일보

입력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축을 위한 대통령 직속 위원회가 2일 공식 출범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디지털 AI(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로 정부의 모든 데이터를 하나로 연결해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목표로 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행정 효율화는 말할 것도 없고 국민 누구나 정책 설계에 참여하는 디지털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국민 삶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 대통령은 “민간플랫폼은 터치 한 번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반면에 일부 공공서비스는 여러 사이트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이 있다”며 “국민들께서 원하는 서비스가 한곳에서 맞춤형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획기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히 기존 전자정부를 업그레이드 하는 수준이 아니라 정부의 데이터가 민간서비스와 자유롭게 결합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우리가 축적해온 전자정부의 역량, 또 국민들의 디지털 기기활용 역량을 고려할 때 세계 어느나라보다도 충분히 우수한, 비교우위를 우리가 가질 수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플랫폼 정부는 공공서비스의 획기적인 개선과 아울러서 불합리한 관행과 규제, 제도를 바꿔나갈 수 있고 빅데이터와 AI 기술를 통해서 정부의 일하는 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올 것”이라며 “디지털플랫폼 정부에서는 공공서비스, 복지, 예산 등 모든 분야가 투명하게 국민에 공개되고 부처칸막이, 불공정한 공공서비스는 더이상 살아남기 어렵게 돼있다.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 민간과 튼튼한 협력이 이뤄져야 하고, 설계 과정에서부터 국민과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고진 위원장 등에게 위촉패를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식에서 고진 위원장 등에게 위촉패를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케네디 대통령이 문프로젝트라는 것을 발표할 때 마음이 이렇지 않았을까 싶다”며 “이것이 언제 제대로 완성이 돼서 국민들이 이 플랫폼을 원활하게 쓸 수 있을지 확실하게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케네디 대통령은 1960년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는 문 프로젝트를 발표했지만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한 건 케네디 사망 후인 1969년이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여기에 모든 역량을, 우리의 첨단 AI 데이터 관련된 과학기술을 여기에 전부 집적시킨다면 빠른시간 내에 이러한 플랫폼이 구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위원들에게 “달에 도전하는 심정으로 애써달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위원회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의 위원장은 고진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장이 맡았다. 고건 전 국무총리의 아들인 고 위원장은 IT 기업 창업가 출신으로, 올해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TF 팀장을 맡은 데 이어 지난 7월29일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됐다.

민간위원으로는 하정우 네이버 클로바 AI랩 연구소장, 오종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교수,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 김영미 상명대 행정학부 교수,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 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등이 참여했다.

고 위원장은 ▶민관 협업과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인프라 구현 ▶국민이 원하는 양질의 데이터 전면 개방 및 활용 촉진 ▶인공지능ㆍ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정부의 일하는 방식 혁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용 환경 보장 등 4대 과제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중점추진과제의 세부 계획을 내년 1분기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