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7000원 짜장, 배달비 5000원…배민은 안 올렸다는데,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배달 노동자가 배달업무를 하고 있다. 뉴스1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배달 노동자가 배달업무를 하고 있다. 뉴스1

광주광역시 북구에 사는 40대 주부 김모씨는 최근 집에서 중식을 시키려다 깜짝 놀랐다. 기존 3000원 수준이었던 배달비가 5000원으로 올라서다. “짜장면 한 그릇에 7000원인데 배달비가 너무 올랐다.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가 이런 걸 두고 하는 말 같다”며 “잠시 주문을 망설였다”고 말했다.

이미 오를 대로 오른 줄 알았던 배달비가 천장을 뚫고 더 치솟고 있다. 지난 상반기엔 주요 배달 중개 플랫폼(배달 애플리케이션)이 배달료를 할인해주는 프로모션을 중단하면서 배달비가 급등했다면, 최근에는 업주들이 물가상승 등의 압박을 이기지 못해 소비자와 분담하던 배달비 분담률을 바꾼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배달료 인상은 수도권에서는 더 뚜렷하다. 1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최근 두 달 새 주말 점심 시간대(낮12시~오후3시)에 배달비를 올린 곳이 10곳 중 세 곳 가까이(28.3%) 됐다. 지난달 13일 서울 25개 구(구별 2개 동)에서 주요 배달 앱별 배달비를 조사한 결과다. 이들의 평균 인상 가격은 887원이었다. 같은 기간 배달비를 내린 업체는 3.5%에 그쳤다.

배달의민족의 단건 배달 서비스인 ‘배민1’은 46%가 올랐다. 요기요 익스프레스(40%)도 비슷하다. 쿠팡이츠에서는 건당 4000원을 올린 업체도 있었다.

동일한 조건에서 배달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배달앱에 따라 배달비 차이가 나는 경우는 92.1%나 됐다.

이에 대해 배민 관계자는 “‘배민1’에는 배달비 6000원(업주와 소비자 분담)이 책정돼 있고, 일반 배달은 업주가 배달비를 자율·개별적으로 결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가 정한 6000원은 올 3월부터 변동이 없는데 이 금액을 소비자와 얼마나 분담하는지는 업주가 자율적으로 정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그간 업주가 3000원, 고객이 3000원을 부담하게 했다가 업주가 2000원, 고객이 4000원 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얘기다.

쿠팡이츠 측도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비는 가맹점주들이 정한다”고 말했다. 요기요 익스프레스 관계자는 “기본 배달요금은 2900원(1.5㎞)으로 정액 청구되고, 거리가 그 이상이면 구간별로 추가 수수료를 적용한다”며 “요기요 자체적으로 배달요금 할인 프로모션을 지역별로 다르게 적용 중이라 부담금은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런 가운데 가맹점주들이 최근 들어 고객의 배달비 분담률 조정을 고민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성동구에서 족발집을 하는 이기백(62)씨는 “그동안 배달비를 거의 우리(업주)가 부담해왔는데 이제는 고객 부담 액수를 올릴지, 아니면 메뉴 가격을 올릴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식재료 값은 다락같이 올랐는데 음식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니, 배달비 부담이 더 크게 느껴진다는 얘기다.

이씨는 “더구나 비 오는 날은 배달비가 10% 할증되니 3만원대 음식은 차라리 팔지 않는 게 나을 정도”라며 “그렇다고 배달비를 올리면 주문이 줄어들 것 같아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배달노동자들이 지난 5월 서울 송파구 배달의 민족 본사 앞에서 '배달의민족은 배달료 거리 깎기 중단하라' 촉구 집회를 갖고 있다. 뉴스1

배달노동자들이 지난 5월 서울 송파구 배달의 민족 본사 앞에서 '배달의민족은 배달료 거리 깎기 중단하라' 촉구 집회를 갖고 있다. 뉴스1

업주 입장에서는 배달 거리가 늘어날 때도 울상이다. 이럴 때는 주로 부릉·바로고·생각대로 같은 대행업체들에게 맡기는데 가격 변화가 커서다. 가령 배달 거리가 3㎞쯤 되는 곳이면 소비자 부담액을 늘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배달기사(라이더)들도 아우성이다. 수입이 되레 줄었다는 하소연이다. 라이더유니온 관계자는 “ 배달 앱이 기사에게 지급하는 돈은 그대로인데 최근 들어 배달 콜 자체가 급감했다”며 “배달 앱들의 프로모션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이제 단건 배달을 이용하려면 배달료를 더 많이 내야 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인데 배달 앱에서 배달비 명목뿐 아니라 마케팅 수수료를 점주들에게 과도하게 받고 있다”며 “소비자들도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데 오른 배달비가 어떻게 쓰이는지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제각각인 배달비가 어떻게 산정되는지 지금보다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