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래픽텔링] "비호감이지만 관계는 개선해야"…한국인과 일본인의 속마음은

중앙일보

입력

한국과 일본은 자유·민주주의·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가까운 이웃 국가입니다. 동시에 과거사 문제와 독도 갈등, 수출 규제, 후쿠시마 오염수(처리수) 배출 등의 갈등 현안을 놓고 대치하는 앙숙(怏宿)이기도 합니다. 악화일로에 놓인 이같은 양국 관계의 어려움은 상대국을 대하는 국민 인식에도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손열 연세대 교수)과 일본의 싱크탱크인 겐론 NPO가 공동으로 기획한 한·일 인식조사 결과 중 주요 내용을 그래픽 자료로 정리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드러난 국민 여론을 통해 현재의 한·일 관계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자는 취지입니다. 

한국에선 EAI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7월 21일~8월 8일까지, 일본 측은 겐론 NPO 의뢰로 여론과학협회가 7월 23일~8월 14일까지 각각 성인남녀 1028명과 1000명을 상대로 조사했습니다.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입니다.

①여전한 한ㆍ일 비호감, 뇌관은 ‘과거사’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와 독도 문제 등 전통적 갈등 사안에 더해 일본의 수출규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처리수) 배출 등 돌발 현안까지 쌓이며 한·일 관계는 파탄 직전에 이르렀습니다. 당연히 상대국을 향한 국민 여론도 '비호감'으로 돌아섰습니다. 다만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한국에선 반일 정서가, 일본에선 혐한(嫌韓) 기류가 커지던 2020년을 기점으로 점차 상대국에 대한 긍정적 인상이 늘고, 부정적 인상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선 부정 평가가 더욱 눈에 띕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올해 다소 나아졌다는 인식이 드러났지만, 한·일 관계 복원을 위해선 여전히 갈 길이 멉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상대국에 대해 긍정 평가한 배경을 물었습니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일본인의 친절한 국민성을 꼽았고, 일본인 응답자는 한국의 대중문화와 식(食)문화를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②미래를 가로막는 벽, 과거사 문제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부정 평가의 이유로는 양 국민 모두 역사 문제를 꼽았습니다. 한국인 응답자는 일본이 한국을 침탈한 역사를 반성하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일본인 응답자는 한국이 역사 문제 등으로 일본을 계속 비판하는 태도에 반감을 표출했습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선결 과제를 묻는 질문에도 '역사 문제 해결(한국인 65.9%, 일본인 66.3%)'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에선 또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겉과 속이 다른 일본의 국민성'을, 일본인 응답자는 '한국 정부 태도에 대한 위화감'을 부정 평가의 이유로 지목했습니다. 갈등 현안과 별개로 상대국과 그 국민을 향한 근본적인 불신이 드러난 셈입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일 현안 중에서도 핵심 뇌관으로 꼽히는 강제징용 문제에서도 양 국민의 인식차가 드러났습니다. 한국인 응답자는 일본 전범 기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2018년 대법원 판결과 현재 대법원이 심리중인 현금화 조치에 무게를 실으며 사법 정의 실현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인 응답자는 '모르겠다'는 답변이 39.5%로 가장 많았지만, 뒤이어 한국 사법부 판결이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과 배치된다는 점을 지적하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한국 대법원 판결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일본 기업의 손을 들어준 셈입니다. 이는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 어떤 해법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한·일 양 국민 모두를 만족시킬 순 없다는 점이 드러난 결과로 평가됩니다.

③윤석열-기시다 케미 기대하는 한ㆍ일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국에선 지난 5월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은 지난해 11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취임했습니다. 양 정상의 취임이 채 1년도 지나지 않은 정권 초에 해당하고, 양국 모두 당분간 큰 선거가 없습니다. '한·일 관계 개선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양 정상의 의지를 점점 더 기대하는 이유입니다.

다만 상대국 정치 지도자에 대한 국민의 호감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한국인 응답자에게 기시다 총리에 대한 인상을 물은 결과 긍정 평가한 비율은 6.6%에 불과했습니다. 일본인 응답자의 윤 대통령의 인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은 20.1%로 집계됐습니다.

호감도와 별개로 국민 여론은 윤석열 정부와 기시다 정부 하에서 한·일 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물론 일본인 응답자의 경우 양국 관계가 바뀌지 않을 것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나아질 것이란 의견 역시 26.8%에 달했습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민 여론은 한·일 관계 개선의 당위성에 대해서도 호응하는 결과로 나타났습니다. 역사 갈등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 열명 중 여덟명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일본인 응답자 역시 절반 이상이 관계 회복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아직 정상회담을 개최하지 않았습니다. 이달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77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첫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양 국민 모두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강제징용 문제 등 각종 현안을 협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관계 개선과 협력 강화를 위한 대화 기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셈입니다. 

④한ㆍ미ㆍ일 협력에 불똥 튄 한ㆍ일 관계 악화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한반도 안보 관리의 핵심축인 한·미·일 3국 협력에 대해선 한·일 국민 간 온도 차가 드러났습니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상당수가 3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일본인 응답자는 그 비율이 한국인 응답자의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한·일 관계 악화로 인한 양 국민 간의 불신은 한·미·일 협력의 큰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면 안 되는 이유로 한·일 응답자 모두 '과거의 역사적 경험으로 보아 상대방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를 1위로 꼽았습니다

⑤인적·문화 교류가 관계 개선의 지름길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한국인 응답자 중 일본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38.8%였고, 일본인 응답자의 경우 26.6%가 한국을 방문한 적 있다고 답했습니다. 중요한 점은 양국 인적 교류가 호감도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점입니다. 한국인 응답자 중 일본 방문 후 나쁜 인상으로 변했다는 응답은 2.5%, 일본인 응답자의 경우 7.9%만이 한국 방문으로 인상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답했습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양국의 대중문화 역시 관계 개선을 촉진하는 매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상대국 대중문화가 인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국인 응답자는 81.3%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습니다. 일본인 응답자 역시 86.2%가 대중문화로 긍정적 인상이 생길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