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방역정책엔 쓸모 없다?…안철수가 주장한 '과학방역' 실체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안철수 의원(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3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안철수 의원(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3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정부의 ‘과학방역’ 핵심으로 꼽히는 전국 항체 양성률 조사의 1차 결과가 내달 공개됩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은 지난 3월 문재인 정부의 방역정책을 “정치 방역”이라고 평가하며 “여론에 따른 정책 결정이었고 그래서 실수가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안 의원은 “새 정부는 과학방역, 즉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 결정을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안 의원은 그러면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을 정기적으로 샘플조사해 방역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항체 양성률을 정기적으로 샘플조사하면 연령대별, 각 지역별로 정확한 방역 정책을 세울 수 있다. 과학적인 방역 대책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이후 국민 1만명을 대상으로 항체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당초 그 결과를 지역별 방역정책에 활용하겠다고 밝혔으나, 실제 활용도가 그리 높지않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항체조사는 무엇이고, 그 결과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어디에 활용 가능한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알아봤습니다.

항체 양성률 조사란
체내에 코로나19 항체(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물질)가 있는지 확인하는 조사입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백신을 접종하면 2~3주 이후 몸 안에 항체가 생성됩니다. 코로나에 감염됐으나 검사를 받지 않아 확진자 통계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숨은 감염자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검사는 혈액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자연 면역과 백신 면역을 구분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조사 결과 확인할 수 있는건
이번 항체 조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항원과 N항원 중 어디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S항체는 자연 감염 또는 백신 접종한 경우 확인되고, N항체는 자연 감염인 경우에만 확인됩니다. 만약 이전에 확진 이력이 없는 사람에게서 N항체가 나온다면 과거 자기도 모르는새 감염됐던 숨은 감염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항체 보유자는 코로나19에 걸리지 않나

B형간염의 경우 표면항체가 양성인 경우 B형간염에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다릅니다. 항체 조사를 하면 항체 유무, 항체 종류는 알 수 있지만 보유한 항체가 코로나19 바이러스로부터 감염을 막아줄 수 있느냐 없느냐는 알 수 없습니다. 항체가 있더라도 그 수치가 낮을 수도 높을 수도 있는데, 아직까지 어느 정도 수치가 돼야 감염 예방 효과가 있는지 기준이 없습니다. 또 새로운 변이가 계속 나타나는데 변이에 따라 항체가 감염을 막아주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항체가 있다해도 3개월 이상 지나면 효과가 확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코로나19의 경우 집단면역이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그렇다면 항체 조사는 쓸모 없는 것인가  
방역당국은 항체 조사를 통해 지역ㆍ연령별, 미진단 감염자 규모와 집단감염 및 감염취약집단 등을 파악해 보다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항체 조사에서 특정 집단의 항체 양성률이 낮게 나타난다면 이들에 대해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정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다만 안 의원이 인수위 시절 밝힌대로 지역별ㆍ연령별 방역 정책에 활용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특정 집단의 항체양성률이 90%가 넘는다고 해도 그들이 모두 감염에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