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근 경찰청장이 2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윤희근 경찰청장은 25일 ‘밀고 의혹’을 받는 김순호 초대 행안부 경찰국장의 거취와 관련해 “최초 언론 보도 이후 새로운 사실이 나오지 않았고, 파견 나간 경찰관을 복귀시킬지는 파견받은 기관의 의사가 제일 중요한데 아직 협의하자는 게 없었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연합뉴스·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김 국장의 의혹이 사실인지 확인했느냐는 물음에는 “하려고 시도해봤지만 대부분 경찰 입직 전의 일로, 30여 년 이상 지난 사안이라 경찰로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답했다.
윤 청장은 경찰대 개혁 이슈와 관련해서는 ‘제로 베이스’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열린 입장을 내놨다.
그는 “2018년부터 군 복무 특혜와 남녀 구분 모집 폐지, 편입학 제도 도입 등 다양한 개혁이 이뤄졌고 마지막 남은 게 졸업 후 경위 임용 문제다. 이건 법 개정이 필요하다”며 “그게 정말 불공정해서 로스쿨 자격시험이나 의사 면허 시험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면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이트 진로 노조원 점거와 관련한 공권력 투입 여부에 대해선 “불법의 정도나, 불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다”고 말했다.
그는 “공권력은 법과 원칙을 지켜나가는 데 있어서 정말 중요한 수단이지만 마지막 수단이기도 하다. 불법 상황이 심각 단계가 되면 당연히 주저 없이 원칙대로 투입한다. 다만 불법의 정도나, 불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고 했다.
윤 청장은 보이스피싱 위장수사 도입과 관련해선 “보이스피싱에도 위장수사 도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아빠 나 액정 깨졌어.’라는 문자를 경찰청장인 나도 여러 번 받았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계속 진화하고 있다”며 “그러나 경찰이 아무리 수사를 해도 잡고 보면 대부분이 심부름하는 중간책 정도다. 범죄를 설계하는 우두머리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보이스피싱에도 위장수사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그리고 최근 ‘검수원복’(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 시행령 등 여러 이슈를 함께 지나온 검찰과의 관계에서는 협력을 강조했다.
윤 청장은 이원석 검찰총장 후보자에 대해 “경찰청장 직무대행일 때 통화로 의사소통한 적이 있는데 합리적인 분이라 앞으로 굉장히 잘 협력할 수 있겠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과 국가를 위해 협력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라며 "상대 조직을 존중하고 자존심 상하지 않게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