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으로 보는 中…부정적 70%, 신뢰도 8%, 경제협력 43% [한·중 수교 30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앙일보는 오는 24일 한·중 수교 30년을 맞아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국민 인식을 분석하는 심층 면접조사를 동아시아연구원(EAI, 원장 손열 연세대 교수)과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중 양국이 진정한 우호 협력 관계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국민의 대중 정서를 진단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면접 조사를 통해 추출한 50여개의 주요 문항과 그에 대한 답변을 보기 쉽게 정리한 그래픽 자료를 소개합니다.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한·중 관계에 대한 여론을 알아보고, 그 이면에 담긴 의미를 분석했습니다. 면접조사는 EAI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7월 21일~8월 8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28명을 상대로 심층 대면 면접조사(PI)를 진행했습니다(최대허용 표집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로, 표집은 성별·연령별·지역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

中 바라보는 시선 계속 악화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해가 거듭될수록 한국인의 반중(反中) 정서가 강해지는 추세입니다. 3년 전에 비해 중국을 향한 긍정 인상은 절반으로 줄었고, 부정 인상은 20% 포인트 이상 늘었습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중국에 대한 불신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우리 국민 열명 중 아홉명은 중국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는데, 조사 대상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中 강압적’, 반중정서 핵심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중국에 대한 부정 인상의 기저엔 '전랑 외교'로 대표되는 중국의 강압적 행태에 대한 반발이 자리했습니다. 특히 최근 한·중 뇌관으로 다시 떠오른 한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에 대한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은 반중 정서의 기폭제가 된 모양새입니다.

사드 정상화…안보주권 지켜야 

관련기사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중국의 강압적 정책에 맞서 정부가 '외교·안보 주권'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한 '사드 추가 배치'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지만, 현재 '임시배치' 상태인 경북 성주 사드기지는 서둘러 정상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74.7%에 달했습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중국의 강압적 외교 행태는 오히려 미·중 갈등보다 더 큰 국민적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는 사드 보복 등 한·중 현안이 해결된다 해도 한국 등 국제사회를 대하는 중국의 태도 자체가 바뀌지 않는다면 우리 국민의 반중 정서도 해소되기 어렵단 의미로 풀이됩니다.

같은 듯 다른 한국인의 中·日 인식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역시 우리 국민의 불신이 강한 국가입니다. 단 일본인과 중국인에 대한 인상에선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편 속했습니다.

중국 급부상 인정하나 지지는 안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중국에 대한 불신과 부정 인상 때문일까요. 우리 국민은 패권국 지위를 노리는 중국의 급부상을 '위협'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중국의 부상이 한국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中이 美 능가할 것’ 전보다 줄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미·중 경쟁에 대한 전망도 과거에 비해 일부 달라진 양상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는 패권국이 될 것이라는 의견은 48.2%에 달했지만, 7년 전과 비교했을 땐 25%p 이상 줄었습니다. 중국 경제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미국을 제치고 국제 질서와 규범을 선도하는 리더 국가가 되긴 어렵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셈입니다.

관련기사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현실적으로 중국이 미국을 능가할 가능성에 대해선 인지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중국을 지지하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대다수는 미·중 경쟁 국면에서 한국은 전략적 모호성, 즉 중립을 지키거나 미국을 지지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대만 충돌 땐 美 지지가 다수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규정한 주요 현안에서도 한국은 미국과 밀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대만 해협에서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어떤 형태로든 미국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64.5%(후방지원 42.0%+군사작전 참여 22.5%)에 달했습니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불가피한 ‘경제 협력’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국은 부정 인식과 불신, 그리고 위협의 대상인 동시에 경제 협력이 불가피한 딜레마도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한·중 관계의 청사진에 대해 '경제 중심의 기능적 협력'과 '전방위적 협력'을 강조하는 의견이 대부분이었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은 6.6%에 불과했습니다.

관련기사

“尹 정부, 대중 경제외교 힘써야”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중 경제 협력에 방점을 찍은 이같은 여론은 윤석열 정부의 최우선 외교 과제로 '경제 외교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일맥상통합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국과의 외교 관계에 있어서도 경제·첨단 기술 협력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별도의 인도·태평양 전략 수립에 대해선 그 필요성 자체는 인정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다만 관련 전략을 어느 범위까지 확대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인도·태평양 전략을 경제 분야에서만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안보 분야까지 포함해 전방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