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CJ, 신세계 이어 풀무원도 ‘고기 없는 고기’ 출사표 “1등 효과 노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CJ제일제당과 신세계푸드, 풀무원, 농심 등 굴지의 식품 기업들이 ‘차세대 먹거리’로 대체육·대안육으로 불리는 식물성 단백질 식품 시장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풀무원, 지구식단으로 대체육 제품 낸다

풀무원은 지속가능 식품 전문 브랜드 ‘지구식단’을 론칭하고, 식물성 대체육 등 신사업에 진출한다고 18일 밝혔다. 풀무원 지구식단은 ‘식물성 지구식단’과 ‘동물복지 지구식단’ 등 2개의 하위 브랜드로 구성된다.

식물성 지구식단은 식물성 원료로 맛과 식감을 살린 제품을 선보이는 브랜드다. 식물성 원료로 만든 동물성 대체식품, 식물성 단백질 강화 식품, 식물성 간편식 세 개의 카테고리로 나눠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풀무원이 지속가능 식품 브랜드 '지구식단'을 정식 론칭했다. [사진 풀무원]

풀무원이 지속가능 식품 브랜드 '지구식단'을 정식 론칭했다. [사진 풀무원]

이 가운데 핵심은 육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동물성 대체 식품으로, 풀무원은 이 카테고리에서 다양한 식물성 대체육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콩에서 추출한 ‘식물성 조직 단백’ 소재를 가공해 실제 고기와 유사한 맛과 질감을 구현하겠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풀무원은 지난해 12월 글로벌 식·음료 원료 개발 기업 IFF의 한국법인 다니스코 뉴트리션앤드바이오싸이언스, 식품 소재 전문기업 인그리디언 코리아 등과 협력해 식물성 조직 단백 연구에 공을 들여왔다.

풀무원은 식물성 대체육 제품으로 햄버거에 들어가는 패티나 소시지 위주의 미국식 대체육 제품과 달리 한국인 입맛에 맞춘 직화 불고기나 식물성 고기 강정, 식물성 햄 제품을 연내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도 기존 두부면 등 식물성 단백질 강화 식품, 식물성 만두·볶음밥 등 식물성 간편식을 개선해 선보인다. 동물복지 지구 식단에서는 엄격한 동물 복지 인증을 받은 치킨 제품이나 닭가슴살 제품을 선보인다.

식물성 원료로 만든 동물성 대체식품, 식물 단백질 강화식품, 식물성 간편식 등을 선보인다. [사진 풀무원]

식물성 원료로 만든 동물성 대체식품, 식물 단백질 강화식품, 식물성 간편식 등을 선보인다. [사진 풀무원]

박종희 풀무원 지구식단사업부 매니저는 “지구식단 브랜드로 국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글로벌 지속가능 식품 시장을 겨냥한 제품군 확장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대체육 브랜드 본격 경쟁 시대

앞서 CJ제일제당은 지난해 12월 식물성 식품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했다. 비건 만두와 김치 등을 선보였고, 지난달엔 떡갈비·함박스테이크·주먹밥 등을 추가해 제품군을 확대했다. 대두·완두 등 콩을 배합해 만든 식물성 단백질을 활용한 대체육이 주요 재료다.

신세계푸드도 지난해 7월 대체육 브랜드 ‘베러미트’를 론칭하고 식물성 슬라이스 햄 등을 내놨다. 지난달에는 서울 강남 지역에 식물성 정육 델리를 열고 식물성 캔 햄 등 소비자 대상(B2C) 제품도 출시했다.

농심은 지난해 1월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을 선보이면서 대체육 시장에 진출, 조리 냉동 식품과 즉석 편의식·소스 등을 선보여왔다. 지난 5월에는 비건 음식을 선보이는 고급 식당을 론칭하는 방식으로 식물성 식품을 알리고 있다. 이 밖에도 롯데제과(롯데푸드)는 지난 2019년 대체육 브랜드 ‘제로미트’를 론칭, 식물성 함박스테이크나 식물성 돈가스 등을 선보이고 있다.

농심의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 [사진 농심]

농심의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베지가든. [사진 농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국내 대체육 시장 규모는 2020년 1740만 달러(약 230억원)로 2016년 1410만 달러(약 187억원) 대비 23% 성장했다. 2025년에는 2260만 달러(약 300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하고 식물성 만두 등을 출시했다. [사진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 브랜드 '플랜테이블'을 론칭하고 식물성 만두 등을 출시했다. [사진 CJ제일제당]

식품 기업들이 너도나도 대체육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대체육 시장 자체의 성장성도 있지만, 시장 특유의 선점 효과를 노린 전략으로 풀이된다. 비건 시장이 아직은 수익을 보장할 만큼 큰 시장은 아니지만, 산업 태동기에 먼저 발을 들여놓겠다는 전략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대체육·비건 시장이 어느 정도 폭발력이 있을지 아직은 다들 지켜보는 단계”라며 “식품 업계는 한 번 1등 브랜드로 소비자에게 인식되면 구도를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에 진입해 대체육 시장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신세계푸드는 콩 추출 단백질을 활용한 돼지고기 슬라이스 햄, 캔 햄 등을 선보였다. [사진 신세계푸드]

신세계푸드는 콩 추출 단백질을 활용한 돼지고기 슬라이스 햄, 캔 햄 등을 선보였다. [사진 신세계푸드]

여기에 최근 부는 ‘K-푸드’의 인기를 기반으로 국내보다 훨씬 큰 해외 비건·식물성 시장에서 승부수를 띄우겠다는 구상도 있다.

CJ는 지난달 식물성 식품 사업 간담회에서 “매출의 70%를 해외 시장에서 올리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신세계푸드도 지난달 대체육 최대 시장으로 손꼽히는 미국에 대체육 전문 자회사 ‘베러푸즈’를 설립했다. 풀무원은 미국법인을 통해 이미 지난 2020년 식물성 지향 식품 브랜드 ‘플랜트스파이어드’를 론칭, 현지 레스토랑 체인이나 학교 급식 서비스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