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독립 영웅 끝까지 기억합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 앞에서 국군 장병들이 한국광복군 선열 17위의 영현을 봉송하고 있다. 11위는 영정이 있었지만, 6위는 영정이 없어 위패로 대신했다. 17명의 독립운동가 합동 안장은 건국 이후 최대 규모다. [뉴시스]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 앞에서 국군 장병들이 한국광복군 선열 17위의 영현을 봉송하고 있다. 11위는 영정이 있었지만, 6위는 영정이 없어 위패로 대신했다. 17명의 독립운동가 합동 안장은 건국 이후 최대 규모다. [뉴시스]

중국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한 김유신 지사, 중국 산서성 태원지구에서 지하공작을 하다 일본군에 체포돼 순국한 김찬원 지사, 중국 산서성 운성에서 공작 활동 중 일본군에 체포돼 순국한 이해순 지사….

1945년 광복 이후 77년간 국립묘지에 묻히지 못했던 광복군 선열 17위의 유해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17명의 독립운동가 합동 안장은 건국 이후 최대 규모다. 〈중앙일보 6월 28일자 16면〉

관련기사

나라 잃은 20~30대 청년이었던 이들 광복군은 중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산화하거나 비밀공작 활동 중 체포돼 순국했다. 광복군 동지들이 유해를 수습해 국내로 봉환했지만 마땅한 후손이 없어 합장한 지 55년 만에 국립묘지에 영면하게 됐다.

이날 오전 유해가 임시 안장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유해 봉송식이 열렸다. 앞서 지난 11일 서울 강북구 수유리의 광복군 합동묘역에서 유해를 수습하는 등 이장 절차를 시작한 지 3일 만이다. 이후 서울현충원에선 이틀간 분향소를 열고 국민 추모기간을 가졌다.

광복군 선열 17위에 헌화·분향한 윤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누리고 있는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17위 선열을 한 명씩 거명하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 갔던 영웅들을 우리가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분들을 책임 있게 예우하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광복군 선열들은 순국 당시 대부분 미혼 청년이었다.

태항산 전투서 전사 김유신, 지하공작하다 순국 이해순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에 참석하기 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을 찾아 고(故) 김천성 애국지사 묘소에 헌화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에 참석하기 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을 찾아 고(故) 김천성 애국지사 묘소에 헌화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중국에서 항일투쟁 중 전사하거나 적 후방 공작 활동을 벌이다 체포돼 모진 고문 끝에 숨지거나 처형당한 경우가 많았다.

유해들은 광복군총사령관을 지낸 지청천 장군과 아들 지달수(광복군 2지대 간부) 지사 등이 광복 이듬해인 1946년 입국하면서 함께 돌아왔다. 수유리 합동묘역이 조성되기 전까진 안치할 곳이 마땅치 않아 서울 조계사에 유해를 모셨다. 수유리 합동묘역엔 마땅한 후손 없이 국내에서 별세한 광복군 네 분도 함께 묻혔다.

보훈처와 광복군기념사업회는 안장식을 앞두고 후손들을 찾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했다. 그 결과 백정현 지사의 조카 백공수씨, 이도순 지사의 외손 김대진씨, 이한기 지사의 종손 이세훈씨를 이날 행사에 초청할 수 있었다.

광복군 17위 유해는 이날 오전 11시쯤 서울현충원을 출발했다. 경찰의 호위를 받으며 17대의 영현 봉송 차량이 차례대로 대전현충원에 들어선 건 오후 1시40분쯤이었다. 유해들은 대전현충원 7묘역에 조성된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역’에 개별 안장됐다.

이번 안장식은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빨리 이뤄졌다. 1967년 수유리 합동묘역을 조성했던 한국광복군동지회의 후신인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가 지난 5월 26일 정부에 이장을 제안한 지 2개월 보름여 만에 성사됐다. 당초 정부 당국이 수유리 합동묘역에 안치된 유해의 실태를 공식적으로 확인한 적이 없고, 17위 중 한 분인 한휘 지사의 경우 국립묘지 안장에 필요한 서훈이 없어 77주년 광복절에 맞춰 합동 이장을 하긴 힘들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정부가 한 지사의 서훈 심사 등을 조기 매듭지으며 문제가 풀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봉송식에서 한 지사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광복절을 앞둔 이날 광복군 선열 17위 유해 봉송식 이후 광복군 김천성·이재현 애국지사 묘소를 잇따라 참배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이 “(이재현 지사가) 오늘 행사에 나온 독립기념 노래를 만드셨다”고 설명하자 윤 대통령은 “부대가를 작사하신 것이네요”라며 비석 아래 적힌 ‘광복군 제2지대가’를 찬찬히 읽었다.

윤 대통령은 광복군 출신 김영관(97) 애국지사의 서울 송파구 자택도 방문했다. 1944년 일본군에 징집됐다가 탈출한 김 지사는 중국 중앙군 제3전구충의구국군총지휘부를 거쳐 광복군에 입대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