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6곳에 빗물터널…처리용량 시간당 100㎜로 높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집중호우 대응 현장 점검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빗물펌프장에서 유수지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집중호우 대응 현장 점검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빗물펌프장에서 유수지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가 강남역을 비롯한 6곳의 상습 침수 지역에 10년간 1조5000억원을 투입해 대심도(大深度) 빗물저류배수시설을 건설한다. 현재의 수방 시스템으론 수해 재난을 막기에 역부족이란 판단에서다. 대심도 배수터널은 콘크리트로 덮인 도시의 ‘물그릇’ 역할을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0일 오후 입장문을 통해 “대심도 터널을 건립한 양천 지역은 침수 피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대심도 터널이 없는 강남지역은 대규모 침수 피해로 이어지는 등 대심도 터널의 유효성이 명확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이날 입장문엔 서울시의 중장기 수해방지 대책의 큰 방향이 담겼다. 대심도 배수터널 건설이 핵심이다. 해당 터널은 지하 40∼50m에 지름 3.5~7.5m 크기의 관을 묻어 집중호우·홍수 때 일시적으로 빗물을 저장했다가 호우가 지나면 빗물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주변 강 등으로 흘려보낸다. ‘빗물을 나르는 고속도로’로 불린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배수터널은 2030년까지 단계별로 추진될 계획이다. 우선 1단계로 2027년까지 이번에 침수 피해가 집중됐던 강남역 일대와 도림천, 광화문 3곳에 짓는다. 도림천의 경우 시내 지천 중 수해에 가장 취약한 곳으로 꼽힌다. 동작구 사당동 일대와 강동구, 용산구 일대는 2단계 사업에 해당한다.

올해 안에 사업예정지 6곳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예산은 1조5000억원 수준으로 잠정 추계했다. 서울시는 우선 재난기금 등을 활용해 당장 필요한 재원을 마련할 방침이다. 설계비는 내년도 본예산에 담겠다는 게 서울시 입장이다. 오 시장은 이와 관련, “필요하면 지방채를 발행해서라도 추진할 계획”이라며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서 국비 지원을 요청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서울시는 또 시간당 95㎜까지 빗물 처리 능력을 갖추겠다는 현행 목표 강우량을 100㎜로 상향 조정하고, 빗물이 고이는 지형인 강남 지역의 경우 이를 11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밖에 서울시 지천·지류 범람 위기 시 통보시스템을 갖추는 등 장기적으로 총 17조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다.

대심도 배수터널은 11년 전 한 차례 추진된 바 있다. 하지만 과도한 토목공사라는 지적과 환경단체 등의 반대로 신월 배수터널 1곳만 들어섰다.

문영일 서울시립대 도시홍수연구소장은 “2011년 계획대로 만약 서울시가 7개의 대심도 빗물터널 건설을 추진했다면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는 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해 복구·대응도 중요하지만 수해 예방에 돈을 아끼지 말라는 주문도 나왔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침수 피해가 발생하면 복구하는 데 거대한 비용이 투입돼야 하고 전염병 확산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수해 예방에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크게 보면 오히려 수해 복구 비용을 아끼는 셈”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