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구 6만명 줄었는데, 교통약자 80만명 늘었다…10명 중 3명꼴

중앙일보

입력

[숫자로 보는 교통약자]

국내 교통약자 10명 중 6명은 노인으로 조사됐다. [중앙일보]

국내 교통약자 10명 중 6명은 노인으로 조사됐다. [중앙일보]

 "30%."

 우리나라 인구 중에서 교통약자가 차지하는 비중입니다. 10명 중 3명은 교통약자라는 의미인데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으로 국내 인구는 5164만명이며, 이 가운데 교통약자는 30%가 약간 넘는 1551만명입니다.

 교통약자는 현행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교통약자법)'에 따르면 장애인과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사람을 의미하는데요.

 국토부는 5년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실태를 전국적으로 전수조사하고 있습니다. 그 사이에는 매년 도 단위와 광역·특별시 단위로 번갈아서 실태조사를 하는데요.

 전수조사를 보면 2016년 1471만명이었던 교통약자는 5년 뒤인 지난해에는 1551만명으로 약 80만명(7%)이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인구는 0.1%인 6만명이 감소했는데요. 인구는 전반적으로 줄고 있지만, 교통약자는 계속 증가하는 상황인 겁니다.

 교통약자 중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이 885만명으로 가장 많습니다. 전체의 57.1%를 차지하고 있으니 교통약자 10명 중 6명은 노인이라는 얘기가 됩니다. 우리나라의 심각한 고령화 현상을 보여주는 셈입니다.

 이어서 어린이가 321만명으로 20.7%를 차지했고 장애인(17.1%. 264만명), 영유아 동반자(12.5%, 194만명), 임산부(1.7%, 26만명) 등의 순이었습니다.

 참고로 해당 조사에서 전체 인구와 고령자 인구, 어린이(만 13세 미만) 인구, 영유아(0~5세) 동반자 인구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현황'을 인용했다고 합니다. 또 장애인 숫자는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등록현황'을, 임산부 인구는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의 출생인구현황을 사용한 겁니다.

 이들 교통약자의 중복 계산을 피하기 위해서 각 교통약자 합계 가운데 중복인구(장애인-고령자, 장애인-어린이, 장애인-영유아 동반자)는 제외했다는 설명입니다.

 국토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의 교통수단과 여객시설, 도로(보행환경)를 대상으로 한 이동편의시설의 기준적합 설치율은 77.3%였습니다.

지하철역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연합뉴스]

지하철역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연합뉴스]

 이동편의시설은 장애인 전용화장실과 휠체어 승강설비, 점자블록 등을 말하며 기준적합 설치율은 교통약자가 이용하는 이동편의시설이 교통약자법상 세부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따지는 겁니다.

 대상별로는 버스ㆍ철도ㆍ항공기 등 교통수단의 기준적합설치율이 79.3%로 가장 높았고, 여객자동차터미널ㆍ도시철도역사ㆍ공항 등 여객시설이 75.1%, 보도ㆍ육교 등 도로(보행환경)가 77.6%로 나타났는데요.

  교통수단 중에서는 철도가 98.9%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도시․광역철도(96.0%), 버스(90.0%), 항공기(73.7%), 여객선(37.8%) 등의 순이었습니다. 여객시설별로는 도시ㆍ광역철도역사(89.9%), 공항(86.8%), 철도역사(82.5%), 여객선터미널(82.2%) 등의 순이었는데요.

장애인용 셔틀버스. [뉴스1]

장애인용 셔틀버스. [뉴스1]

 교통약자가 이동할 때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따져보니 지역 내 이동 시에는 버스(51.6%)와 지하철(14.2%) 등 대중교통이 많았고, 지역 간 이동 시에는 승용차(66.2%)를 가장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은 장애인택시도 많이 타는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계속 늘어나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해서는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걸 시사하는 내용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무조건 불특정 다수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하기보다는 교통약자별 특성에 맞는, 이동에 최적인 수단에 집중투자하는 게 보다 효율적일 수 있을 듯 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