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석유 이어 농산물·외식마저…물가상승률 2달째 6%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6.3%.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23년 8개월 만이다. 6월(6.0%)에 이어 2달 연속으로 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물가가 6%대 오른 것 자체가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면서 고물가 기조가 이어졌던 MB 때도 최대 5%대였다.

23년 8개월 만 최고 상승률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석유류와 외식뿐 아니라 농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상승을 이끌었다. 6월보다 또다시 올라간 물가상승률의 배경엔 배추 등 채소류 가격 오름세가 있었다. 지난달 석유류는 1년 전보다 35.1% 오르면서 여전히 비쌌지만, 국제유가 상승세가 꺾이면서 6월과 비교하면 0.1% 떨어졌다.

농산물발 물가 폭풍까지 덮쳐 

그런데도 소비자물가가 되레 오른 건 농산물이라는 변수 때문이다. 농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5% 올랐다. 특히 채소류 상승률이 25.9%로 높았다. 오이(73%), 배추(72.7%), 시금치(70.6%) 등 가정집 식탁에 일상적으로 올라오는 식재료들이 일제히 2배 가까이 뛰었다. 봄철 가뭄이 지났지만, 폭염과 함께 비까지 자주 내리면서 농산물발(發) 물가 폭풍이 현실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스1

1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스1

거리두기 해제 등에 따른 수요 증가에 식재료 가격 상승까지 겹치면서 지난달 외식물가도 1년 전보다 8.4% 올랐다. 1992년 10월(8.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식당‧배달음식 등 가격이 지난 30여년간 경험한 적 없는 수준으로 올랐다는 의미다. 대표 배달음식인 치킨 가격이 11.4% 올랐고, 생선회(10.7%) 등 다른 외식 품목도 가격이 크게 뛰었다.

공공요금 상승률 역대 최대 

밥상에 올라오는 농축산물이나 외식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더 가파르게 오른 만큼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 먹거리 소비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7.9%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여파도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7% 올랐다. 2010년부터 공공요금 물가 조사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지난달 들어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인상된 데다 코로나19 당시 일시 감면했던 지역 상수도 요금까지 다시 올라간 탓이다.

올가을 물가 정점 찍나 

정부는 물가의 정점을 9~10월로 예상한다. 전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나와 “대외요인에 추가적인 돌발 변수가 없는 한 9~10월이 정점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도 "그동안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대외 요인들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다음 달은) 6%대 이하로 가진 않겠지만 7%대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했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800원대에 진입했다”며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는 등 긍정적 신호가 일부 관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다만 올가을을 정점으로 예견했을 뿐, 물가가 당장 과거 수준으로 내려간다는 뜻은 아니다. 오름폭은 다소 꺾이겠지만, 물가 자극 요소가 여전한 만큼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물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대해 통계청은 5%가 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날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당분간 6%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양상,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 추이, 여름철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